뉴스로=정현숙기자 nychrisnj@yahoo.com
제19대 대선 재외선거가 1주일을 남겨둔 가운데 재외한인언론인대회에서 주요 정당의 대선후보들이 재외동포정책 전담기구 설립과 복수국적 허용연령을 현행 65세에서 45세로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피력(披瀝)해 동포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17 재외동포한인언론인 대회 둘째날인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주요 정당 대선후보들의 재외동포 정책을 맡고 있는 담당자들이 나와 공약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재외한인 언론진흥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에서 첫번째 발표자로 나선 정광일 더불어민주당 세계한인민주회의 사무총장은 “750만 재외동포 정책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할 ‘재외동포청’ 설립이 절실하다”며 “재외한인 언론들이 관련 결의문을 채택하는 등 대선 시기를 적극 활용하면 재외동포청 신설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창영 자유한국당 재외동포위원장은 강원도 인구의 5배 규모인 재외동포 업무를 총괄(總括)하는 ‘재외동포처’를 국무총리 산하 기구로 두어야 한다”며 “12개 부처에 산재한 동포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재외동포처’ 관련 법안을 발의하겠다”고 약속했다.
조규형 국민의당 특보는 "병역, 세금, 건강보험 등 각 부처가 고유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만큼 재외동포청 설립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대통령 직속 상설 '재외국민위원회'를 만들어 재외국민 및 동포 관련 정책을 펴나가는 게 효율적이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양창영 자유한국당 재외동포위원장은 현행 65세 이상 복수국적 대상 연령을 45세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조규형 국민의 당 특보도 45세 혹은 55세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의 정광일 사무총장은 구체적인 연령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미 민주당은 18대 대선 당시 복수국적 확대에 대한 공약을 제시한 바 있어 차기 정부하에서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민의 당은 재외동포 2세의 군복무 대체 방안으로 사회복무요원 채택 등의 공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패널로 나온 김원일 러시아 모스크바뉴스프레스 대표는 “재외동포청이 설립된다면 재외동포가 참여할 수 있게 문을 열어달라”며 “재외한인 언론 지원 관련 법규정도 제정해달라”고 요청했다.
김대중 필리핀 뉴스게이트 대표는 “그동안 재외언론에 대한 지원 방안 관련한 요청과 약속이 끊이지 않았으나 지켜지지 않았다”며 “재외동포 전담기구 설립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재외한인언론인협회 차원에서 네이버와 포털 운영 협력 추진”
앞서 이날 열린 ‘재외한인을 위한 포털 운영의 타당성’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에서 유봉석 네이버 전무이사가 미디어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고 재외한인 언론사와 제휴(提携)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관련, 김소영 재언협 회장은 “네이버와 재외한인 언론사들과 포털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며 “협회 차원에서 제휴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협회 사무처에 제언과 문의를 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