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가 네일업계 보도이후 로컬의 한인 정치인을 정조준(正照準)한 기사를 실어 한인사회에 파장이 일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9일 '네일살롱업주들의 지원을 받는 뉴욕의 의원, 이제 개혁과 싸우다'라는 자극적인 제목으로 장문의 기사를 실었다. 뉴욕타임스가 언급한 의원은 뉴욕주 론 김(한국명 김태석)의원이었다.
뉴욕타임스의 이번 기사의 주안점은 론 김 의원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네일 업계를 이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욕타임스의 네일업계 탐사보도가 나간후 앤드류 쿠오모 뉴욕주지사가 업계의 병폐(病弊)를 해결하겠다며 개혁을 진두지휘할 때 함께 목소리를 냈던 그가 이제는 업주들의 편에 섰고 그 배후엔 네일업계의 후원금이 작용했다는 투로 기사를 전개하고 있다.
론 김 의원은 타임스 기사에 대해 처음부터 끝까지 팩트가 모두 틀렸다. 한인정치인을 차별하는 악의적인 기사로 뉴욕타임스의 공식 사과가 있지 않으면 법적 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인사회도 정치후원금을 준 것으로 보도된 뉴욕한인네일협회는 물론, 뉴욕한인직능단체협의회와 퀸즈한인회, 롱아일랜드한인회, 한인권익신장위원회, 시민참여센터 등이 12일 긴급 모임을 갖고 뉴욕타임스의 기사는 왜곡된 것이라며 반박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한인사회는 특히 이번 기사를 작성한 새라 니어 기자에 대해 의혹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니어 기자가 네일업계 탐사보도를 쓴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이미 여러 차례 보도된대로 니어기자의 탐사보도는 취재과정에서 통•번역의 실수, 미약한 근거자료, 극소수 사례를 통한 일반화의 오류 등의 문제로 부실한 기사로 결론이 내려지고 있다.
문제는 이 보도로 인해 지금까지 엄청난 후폭풍(後爆風)이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뉴욕주정부가 타임스 기사를 근거로 단속과 티켓의 칼날을 들이대고 현실을 무시한 임금보증채권 등으로 재정이 취약한 네일살롱들의 폐업이 잇따르거나 종업원들을 줄여나가고 있다. 아이로니컬하게도 이민노동자들의 임금과 인권 개선을 위한다는 기사가 노동자들의 현실을 더 열악(劣惡)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탐사보도이후 뉴욕타임스 빌딩 앞에선 중국계 업주들이 3차례나 시위를 벌였으나 뉴욕타임스는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6일 마가렛 설리번 퍼블릭에디터가 자사 보도의 문제점을 시인하는 칼럼을 실었으나 뉴욕타임스의 공식 입장은 아니다.
뉴욕 네일업계의 양대산맥인 한인사회와 중국커뮤니티는 뉴욕타임스의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있지만 현재로서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의 탐사보도는 타임스가 보조인력 등 수십명의 기자와 통역원들이 근 1년에 걸쳐서 진행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2회 시리즈를 보도하며 사상 처음 인터넷판에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 서비스를 하는 등 또다른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내심 퓰리처상을 받을만한 기획물로 기대했을 탐사보도가 엉터리라는 비난은 새라 니어 기자는 물론, 이를 기획하고 진두지휘(陣頭指揮)한 뉴욕타임스 편집진까지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런 시점에 론 김 의원에 대한 표적 기사는 외부의 비판에 대한 타임스 내부의 저항감과 불쾌감을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 니어 기자는 "론 김 의원이 몇 달 전만해도 이민자들의 노동 권리를 위한 법안 발의를 위해 애썼지만 네일 업주를 대상으로 한 뉴욕주의 강력한 제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등 입장이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론 김 의원이 뉴욕 주정부의 법안 제정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내면서, 네일 업주들이 빠르게 단결했고 이들이 수만 달러에 달하는 정치 자금을 론 김 의원에게 기부했다는 것이다.
니어 기자는 론 김 의원이 정치자금 마련을 위해 일한 것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뉴욕한인네일협회에 5천달러, 중국계네일협회에 2천달러를 되돌려 주었다고 말했다. 또한 김 의원이 후원금을 돌려 준 날, 네일 업주들에게 로비 회사를 고용해 대처하라며 자신이 2012년 일했던 파크사이드 그룹을 소개했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뉴욕타임스의 네일탐사 보도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해명대신 의도적으로 나를 표적으로 삼은 기사가 나와 당혹스럽다"며 "니어 기자의 논리라면 임금보증채권을 의무화한 쿠오모 주지사는 보험회사로부터 돈을 받고 법을 시행한 것이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임금채권 의무화는 법안 마련 당시부터 강력 반대한 사안이었고 법안 로비 의혹을 차단하기 위해 의회가 끝난 후 단 세 차례 후원회를 했을 뿐이다. 네일업계로부터 받은 후원금은 전체 후원금에 비교하면 매우 적은데도 뉴욕타임스는 기부자 대부분이 네일업계 종사자처럼 묘사하는 악의적인 보도를 했다"고 분개(憤慨)했다.
뉴욕한인네일협회 이상호 회장은 "2주전 니어 기자가 연락해 '김 의원이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 아니냐'며 계속 유도질문을 던지더라. 한인들은 네일업주도 있지만 더 많은 수가 네일업계 노동자이다. 노동자의 인권보호와 네일업주의 부당한 피해도 막아야 한다는 김의원의 일관된 입장을 후원금을 받고 입장이 달라진 양 보도한 것은 다분히 의도적"이라고 비판했다.
뉴욕=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Backed by Nail Salon Owners, a New York Legislator Now Fights Reforms <NY Times>
http://www.nytimes.com/2015/11/09/nyregion/once-behind-nail-salon-law-assemblyman-now-opposes-reform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