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가 지난해 유엔주재 북한외교관에 대한 생체정보를 파악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위키릭스가 공개한 국무부 전문에서 확인됐다.
미 국무부가 이같은 지시를 내린 것은 지난해 7월. 유엔미국대표부와 주미한국대사관 등 세계각국 공관에 유엔주재 북한외교관에 대한 생체정보 등을 파악,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드러났다.
비밀로 분류돼 비밀해제시기가 2034년 7월로 지정된 '유엔 인적정보 수집지침' ‘New Humint Collection Directive’이라는 제목의 이 문건에서 북한은 다르푸르와 수단,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소말리아, 이란 등과 함께 최우선 정보수집대상으로 지정돼 있다.
북한에 대한 인적정보 수집지침은 생체정보외에 유엔안전보장 이사회 멤버들의 북한의 핵무기관련 발언정보와 계획, 대량무기확산방지와 관련한 북한대표단의 견해와 활동, 북한내 유엔개발계획의 활동내역, 유엔개발계획 조정관의 북한 공직자와의 밀착관계 등을 파악하라고 기록돼 있다.
한편 이 수집지침에서 한국에 대한 정보파악 지시는 포함돼 있지 않았다.
뉴욕=안치용블로거 cyahn@newsroh.com
<꼬리뉴스>
미국 생체정보인식 ID카드 본격추진
셍체정보는 생물학(biology)과 정보과학(infomatics)을 합성한 말로 수많은 게놈 정보를 수리적으로 분석하는 학문 분야다.
미국은 올들어 생체정보인식 ID 카드 상용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국경수비대와 임시직 근로자 불법이주자의 효과적인 관리가 주목적이지만 사생활침해와 보안성 등의 문제로 논란을 빚고 있다.
어쩌면 미국은 전 세계인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려는 원대한 꿈을 품은 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