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0년, 서울 김포공항 일대에 UAM 이착륙장(離着陸場)과 복합환승시설(複合換乘施設)이 준공돼 본격 ‘UAM(도심항공교통) 시대’가 열린다. 여객․물류 이동 등 공항 기능 강화와 함께 미래첨단산업 클러스터가 확충돼 도쿄 ‘하네다공항’․싱가포르 ‘창이공항’과같은공항 중심의 신(新) 산업․경제 거점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UAM 이착륙장 등 복합환승시설 조감도
서울시는 강서구 공항동 김포공항 일대(35.4만㎡)가 9일(월) ‘김포공항 혁신지구’로 지정 고시(예정)됨에 따라 미래 교통허브및모빌리티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활력 도시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김포공항 일대는 '21년 12월 국토부가 항공 관련 업무․교육시설, 모빌리티 혁신산업 시설 조성을 위한 도시재생혁신지구(국가시범지구)로 조건부 선정한 이후 지난해 6월 공공기관 사업타당성조사(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혁신지구 개발이 마무리되는 2033년 이후 김포공항은 UAM이착륙장․S-BRT(간선급행버스) 등 신규 복합 환승시설과 기존 도심공항 인프라가 연계된 혁신 신산업 허브로 변모, 3만여 개의 일자리와 약 4조 원에 이르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창출(創出) 될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김포공항 혁신지구(국토교통부 지정 고시)는 앞으로 국․시비 100억 원, 한국공항공사 등 공공 490억 원, 민간 29,050억원 등 총 사업비 2조 9,640억 원이 투입된다.
지하 4층~지상 8층 규모 복합시설로 조성되는 ‘김포공항 도시재생혁신지구’는 전체 면적 35만㎡에 3개 블록이 조성된다. 1블록에는UAM 등 이착륙장 및 복합환승시설이 들어서고 2블록은 항공업무시설 3블록은 첨단산업시설 중심으로 조성된다.
2000년 준공되는 ‘1블록’은 연면적 67만㎡로 지하2층~지상 1층에는 대중교통 환승시설이 구축돼 택시․S-BRT․지하철과 연계되고, 지상 5층~지상 7층은 UAM 이착륙장이 들어서 전용 엘리베이터를 통해 다른 대중교통으로 환승하는 복합환승체계도 마련될 예정이다.
2033년 준공 예정인 2블록(연면적 24만㎡)은 항공업무시설을 중심으로 교육․상업․창고시설, 생활 SOC 등이 조성되고 3블록(연면적 28만㎡)은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 등을 설치해관련사업체를 유치하는 동시에 오피스텔, 공공시설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모빌리리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감도
보존과 개발, 공존하는 ‘2세대 도시재생’ 대표사례로 공항과 연계된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발생한 개발이익을 지역에 재투자해 공공․체육․보육시설 등 지역에 부족한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생활 SOC)을 확충하고 일자리를 창출, 그동안 항공소음 피해․건축규제 등으로 소외됐던 지역과의 상생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배후지원단지 노후(老朽)로 침체된 김포공항 주변에 첨단산업 클러스터,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등이 확충되면 ‘김포공항 혁신지구’가보존과 개발이 공존하는 ‘2세대 도시재생’의 대표 사례가 될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혁신지구 지정으로 본격적인 김포공항 일대 개발을 위한 동력과 함께 국토교통부의 공간혁신구역 후보지, 일명 ‘화이트존(White Zone)’에도 선정되면서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해진만큼 사업추진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원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그간 공항시설로 인해 개발 제한, 주변 지역과의 단절 등을 겪었던 김포공항 인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발이익 환원(還元)을 이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김포공항 일대가 미래교통 허브이자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활력 도시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사업을 힘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2024 게임산업축제 열린다 (2024.9.4.)
‘배틀그라운드’ 국가별 대항전부터 컨퍼런스, 시민체험까지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1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