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20일, PM 07:30:12 파리 : 5월21일, AM 02:30:12 서울 : 5월21일, AM 09:30:12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한국필진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352)
·국인남의 불편한 진실 (11)
·김영기의 민족생명체 (18)
·김정권(Quentin Kim)의 음악 (6)
·김지영의 Time Surfing (25)
·김해성목사의 지구촌 사랑나누기 (62)
·노이경의 사람과 사람사이 (2)
·박기태의 세계로가는 반크 (114)
·박상건의 삶과 미디어 읽기 (5)
·서경덕의 글로벌코리아 (5)
·소곤이의 세상뒷담화 (166)
·유현희의 지구사랑이야기 (12)
·이래경의 격동세계 (146)
·이재봉의 평화세상 (113)
·이춘호의 이야기가 있는 풍경 (5)
·정진숙의 서울 to 뉴욕 (22)
·최보나의 세상속으로 (7)
·켄의 글쟁이가 키우는 물고기 (6)
·한종인의 자연 메詩지 (166)
·혜문스님의 제자리찾기 (28)
·황룡의 횡설수설 (150)
·흰머리소년의 섞어찌게 세상 (10)
소곤이의 세상뒷담화
세상은 넓고 디벼댈 일은 많다. 공상의 세계에선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엑스맨 그린맨.. 오만가지 맨들이 시시때때로 튀어나오는데 배알이 뒤틀리는 세상사를 조금은 삐딱하게 들여다보며 뒷구멍에서 궁시렁대는 민초들의 오장육부를 시원하게 해줄 ‘미디어맨’이 하나쯤 있어야 하는게 아닐까. 소곤소곤 뒷담화가 뒷다마가 될지언정 눈꼴신 작태는 눈뜨고 못보는 소고니의 오지랖 세상사.

총 게시물 166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아, 금강산 단풍’(下)러기자 취재

글쓴이 : 소곤이 날짜 : 2016-12-31 (토) 12:34:03

 

금강산은 강원도 고성군, 금강군, 통천군에 걸쳐 있으며, 또한 일부 지역은 인제군까지 걸쳐 있고, 백두대간의 허리 부분에 있다. 주분서령을 기준으로 서쪽은 내금강, 동쪽은 외금강으로 분류한다. 외금강 동쪽에 있는 지역은 해금강이라고 한다.

 

금강산의 주봉은 비로봉이며, 1m 이상의 봉우리는 무려 60여 개로, 크고 작은 봉우리를 모두 합치면 헤아리기가 어려울 정도이며, 선조들은 일만 이천 봉이라 했다. 이 지역의 많은 명승지들이 북한에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14695447_10153880101121472_4392907005293511436_n.jpg


14567969_10153880102026472_8696343297871624067_n.jpg

14567977_10153880105076472_6293425960345729529_n.jpg

14568010_10153880104341472_5103870905965586009_n.jpg

14570498_10153880104426472_2387252754738651486_n.jpg

14590246_10153880104441472_981039291887177634_n.jpg

14610935_10153880101086472_3024217112880217769_n.jpg

14632817_10153880102631472_4721378290962882771_n.jpg

14639852_10153880104601472_2571512766508786752_n.jpg

 

 

 

외금강의 남쪽 지역을 신금강이라고도 한다. 탐승 구역은 외금강 11, 내금강 8, 해금강 3개가 있는데, 아직 이들 모두가 개방되지는 않았다.

 

예로부터 금강이라 하면 주로 내금강을 뜻했으며, 주분서령의 서쪽에 있는 지역으로 금강산의 주봉인 비로봉과 여러 폭포가 있다. 내금강은 만폭동(萬瀑洞) 구역, 태상동 구역, 백운대 구역, 비로봉 구역, 명경대 구역, 망군대 구역, 구성동 구역 등으로 나뉜다.

 

내금강에 있는 봉은 비로봉 외에 영랑봉(1,601m), 중향성(1,520m), 영추봉·백운대(969m), 향로봉(1,030m), 법기봉·혈망봉(1,372m) 등이 있으며, 백천동·태상동·구성동 골짜기 등의 유명한 폭포가 많다.

 


14642080_10153880101396472_7873194229787604674_n.jpg

14642106_10153880102011472_9159074188953476212_n.jpg

14642139_10153880103611472_5943532824517438559_n.jpg



14642154_10153880103371472_5078526143270421411_n.jpg

14642202_10153880102926472_7536910348063505844_n.jpg

14642230_10153880104106472_668313020609202169_n.jpg

14642324_10153880100711472_8901723852352169671_n.jpg

14650531_10153880102431472_2557134082059013263_n.jpg

14650554_10153880104026472_6054090177964307023_n.jpg

14650659_10153880101991472_4561587149556119294_n.jpg


주변 경관뿐만 아니라 표훈사(表訓寺)로 가는 길목 길가의 큰 자연석에 미륵, 석가, 아미타불 상존입상을 조각한 특이한 구성으로 고려 시대의 뛰어난 조각 솜씨를 자랑하는 삼불암, 높이가 40m나 되는 거대한 암벽에 조각된 마애불인 묘길상, 팔담의 하나인 분설담 위에 세워진 독특한 암자인 보덕암(普德庵) 등의 중요한 역사 유적이 있다.

 

내금강의 동쪽에 있으며, 동해안을 따라 펼쳐진 지역을 포괄한다. 크게 구룡연, 만물상, 수정봉, 천불동, 선하 구역으로 나뉘며, 수정봉(773m)을 비롯한 문주봉(1,027m), 호봉(1,264m), 상등봉(1,227m), 옥녀봉(1,424m), 세존봉(1,160m), 채하봉(1,588m), 집선봉(1,351m) 등의 산봉우리가 있다. 구룡연(九龍淵)에 있는 구룡폭포는 개성의 박연폭포, 설악산에 있는 대승폭포와 더불어 조선 3대 폭포로 꼽히며, 높이는 74미터, 너비 4미터에 달한다.

 

폭포 절벽과 바닥이 한 화강암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다. 비봉폭포는 이것보다 더 높은 139미터에 달하며, 장쾌한 물줄기로 이름나 있다. 만물상 구역에는 삼선암, 독선암, 귀면암 등의 기암괴석이 펼쳐져 있으며, 여러 바위마다 독특한 전설을 담고 있다.


14650701_10153880104111472_7646532479009587657_n.jpg

14656294_10153880102356472_5493933335686238281_n.jpg

14657345_10153880105751472_704004168283531999_n.jpg

14657399_10153880101801472_2259297027490984546_n.jpg

14657469_10153880101601472_4103062574582357681_n.jpg

 

14657499_10153880105401472_3859363392380075997_n.jpg

14666311_10153880102701472_5984156863841454901_n.jpg

14670679_10153880104661472_5889925333426536547_n.jpg


수정봉 구역은 외금강과 동해의 절경을 함께 감상할 수 있으며, 천불동 구역에는 3단 폭포, 선인굴, 육선암, 연주폭포, 금강천지(金剛天池) 등 저마다 독특함을 자랑한다. 선하 구역에는 용바위, 흔들바위, 선하폭포, 백련폭포, 채하폭포, 바리소, 무지개 다리, 집선봉 등이 있다.

 

금강산(온정리) 온천은 외금강에 있으며, 신라 시대에 발견되었다는 오래된 온천이다.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등에서 언급되고 있는데, 왕족이나 관리들이 주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함유 물질로는 라돈, 메타규산이 광천의 한계량 이상 들어 있으며, 탄산 및 염소 이온과 나트륨, 칼슘 이온도 들어 있다. 북한의 천연기념물 226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며, 관광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다.

 

해금강은 대해 때문에 세상에 알려진 지 300년 밖에 되지 않았는데, 숙종 24(1698) 고성 군수로 있던 남택하(南宅夏)가 찾아내고 금강산의 얼굴빛과 같다.” 하여 해금강이라 이름 붙였다. 본래 해안 암벽, 바위섬, 자연호, 모래사장, 하천이 어우러진 경승지다.

 

이중 개방된 곳은 삼일포와 향로봉이며, 관동 팔경의 하나인 총석정은 개방되어 있지 않다. 삼일포는 남한의 화진포와 송지호같이 석호(潟湖)이며, 총 넓이는 0.79에 달한다.

 

 

14670698_10153880101406472_3974065565246917236_n.jpg

14670720_10153880100886472_6251738655427223451_n.jpg

14670859_10153880101306472_164972340892868775_n.jpg

14671104_10153880100751472_8435741267299005008_n.jpg

14671118_10153880102496472_1025053151124519925_n.jpg

14671119_10153880103616472_2648837729064867412_n.jpg

14671294_10153880102796472_2966995245066611590_n.jpg



전설에 따르면 신선 또는 화랑들이 경치가 너무 좋아 3일 동안 머물고 갔기 때문에 삼일포라 한다. 봉래대에서 삼일포 전경을 볼 수 있다. 소가 누운 모양이라고 해서 와우섬이라 이름 붙은 큰 섬을 비롯해, 3개의 작은 섬이 떠있다.

 

또한 삼일포 기슭에는 4명의 신선이 놀고 간 것을 기념해 세웠다는 사선정터가 있다. 향로봉은 바다의 해만물상이라 불리며, 바닷가에 육지와는 거리를 두고 홀로 솟아 있는 봉우리이다. 비바람에 씻기고 바닷물에 깎이어 독특한 모양을 지니고 있다.

 

외금강의 남쪽 지역을 신금강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곳은 전체적으로 전나무와 소나무로 구성된 원시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곳에 있는 십이폭포는 금강산에서 가장 규모가 큰 폭포로 수직 높이는 289미터, 폭포 길이 390미터, 너비는 약 4미터에 달한다. 그밖에도 온선대, 칠보대, 직류폭포, 채하폭포, 바리소, 무지개다리, 송림굴, 소연소, 구룡소, 선담, 유점사, 반야암 등의 볼거리가 있다.

 

 

 

14680529_10153880103356472_1295305230462939228_n.jpg

14681698_10153880101861472_4165194024225979165_n.jpg

14681732_10153880102501472_1723486650042606372_n.jpg

14690871_10153880101786472_2388011505911995107_n.jpg

14690888_10153880104446472_1400003832220666297_n.jpg

14691143_10153880103866472_7821954294881959255_n.jpg

14695327_10153880102906472_1811186817743170639_n.jpg

14695362_10153880101796472_4795731074999948098_n.jpg

14702240_10153880102696472_8027714560528460050_n.jpg

14702377_10153880101981472_3992945150462109888_n.jpg


<글 참조 www.ko.wikipedia.org>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