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18일, PM 06:46:18 파리 : 5월19일, AM 01:46:18 서울 : 5월19일, AM 08:46:18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7)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10)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망국적인 식민사관에 언제까지 휘둘릴 것인가. 우리 민족의 참된 역사, 진실된 역사를 알리기 위해 평생을 싸워온 재야 사학자. 현재 뉴욕을 기반으로 한민족사관정립의식개혁회를 이끌고 있다.
총 게시물 410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奉天通志(봉천통지)가 기록한 기주(冀州)의 허구성 연구 – 제29부

글쓴이 : 김태영 날짜 : 2023-08-30 (수) 15:30:27


()나라 우()의 이야기는 2070-1600BC 이며, ()나라는 1600-1046BC 시기이다. 그 당시의 기록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다고 믿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필자 역시 그 같은 사실에 의심을 저버릴 수 없다. 이들 사료들은 춘추전국시기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제자백가의 출현과 함께 보다 더 넓은 영토를 얻기 위해 서로 빼앗고 빼앗기는 전쟁으로 점철했던 시기이다. 그래서 전국시대(戰國時代)’라 한다.

때문에 기주의 위치를 추적하려면 춘주전국시대에 쓰여진 <尙書(상서)>를 시작으로 <呂氏春秋(여씨춘추)><淮南子(회남자)><주례직방씨>의 문헌자료가 반드시 언급되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강과 산의 위치와 당시의 지리지명을 고증하려면 반드시 <중국고금지명대사전>, <중국역사지명대사전>, <중국고대지명대사전>, 그리고 <수경주> 등을 조사, 비교, 교차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김육불은 이들 7가지 문헌자료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하면 김육불은 우()9주로 나누었다는 기주(冀州)에 대한 1차사료를 제시하지 못하면서 기주, 유주가 지금의 봉천성이라고 억단(臆斷)하는 역사 왜곡의 우를 범하였다.

따라서 역사적 근거, 설득력, 객관성, 그리고 권위 면에서 신뢰감이 가지 않는, 단지 김육불 개인의 의견으로 정리되며 역사서로서의 가치가 없는 허구임을 밝힌다.

자세한 내용은 www.coreanhistory.com 에서

 

 

<奉天通志(봉천통지)>가 기록한 기주(冀州)의 허구성 연구 30

 

IV. 맺음말

 

고대사(古代史)에 나타난 지리지명을 밝히기 위해서는 강, 하천, , 산맥의 위치가 대단히 중요하다. 장구한 시간에 걸쳐 강과 산은 쉽게 변하지 않는 속성을 가지며 인간의 힘으로는 강과 산을 옮길 수 없기 때문이다.

기주(冀州)의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먼저 황하(黃河)를 중심으로 하동(河東)과 하북(河北) 지역을 살펴보았다. 1차사료로 여겨지는 <尙書(상서)>, <呂氏春秋(여씨춘추)>, <淮南子(회남자)>, 그리고 <周禮職方氏(주례직방씨)> 등에 나타난 9주의 하나인 기주를 󰡔奉天通志(봉천통지)󰡕가 기록하고 있는 기주와 대조, 비교, 검토, 분석, 교차확인 함으로써 <봉천통지>에 기술된 기주(冀州)1차사료와 문헌자료에 기록된 기주와 일치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通典(통전)>, <括地志(괄지지)>, <中國古今地名大辭典(중국고금지명대사전)>, <中國古代地名大詞典(중국고대지명대사전)>, <中國歷史地名大辭典(중국역사지명대사전)> 등 여러 종류의 문헌자료들과 함께 검토하였다.

이러한 절차의 결과로써 이들 문헌사료들이 기록하고 있는 기주는 오늘날의 황하강 사이 즉 경도 110도와 위도 35도 사이의 산서성 남부와 황하 북부 하남성 하내임을 고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1차사료와 문헌자료가 기술하고 있는 기주와 김육불이 지은 <봉천통지>의 기주가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뚜렷하게 확인하였다.

이들 사서와 문헌자료들은 기주, 유주, 요서, ()[북연], 광녕 등이 산서성과 산서성 남서부 그리고 황하북부 하남성 하내로, 황하강 인접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반하여 <봉천통지>에서는 지금의 동북 삼성인 요녕성과 하북성에 이들 지명과 연()[북연]국이 있었던 것으로 적고 있다.

상고시대 국가들의 영토를 밝히는데 초석이 되는 기주에 관한 한 <봉천통지>를 지은 김육불은 1차사료와 문헌자료의 내용과 전혀 다른 근거없는 주장을 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밝힌다.

역사는 실사구시(實事求是) 무징불신(無徵不信)의 원칙에 의해 기록되고 연구되어야 한다. , 사실에 입각하여 맞는가의 여부를 따지고 증거가 없을 때는 믿지 않는다는 원칙이다.

그런데 <봉천통지>에 언급된 기주는 증거가 없는 개인 견해이다. 따라서 <봉천통지>는 역사적 근거, 논리성, 객관성 등의 역사 서술 원칙에 따라 정사(正史)나 정서(正書)로 보기에는 무리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억설(臆說)과 억단(臆斷)으로 일관된 허구의 소설이라고 결론짓는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허구의 <봉천통지>를 신봉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일부 강단사학자들이 있다는 점이다. 김육불의 <봉천통지>가 역사 왜곡의 허구인 점을 논거를 제시하여 밝혔음으로 한국 강단사학계는 자신들의 오류를 인정하고 <봉천통지>에 대한 비판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바란다.

자세한 내용은 www.coreanhistory.com 으로

 

<奉天通志(봉천통지)>가 기록한 기주(冀州)의 허구성 연구 31

참고 문헌

 

사료

呂不韋.<呂氏春秋>.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2018.

劉安.<淮南子>4,지형훈.유기백과,자유적도서관,2018. https://zh.wikisource.org/wiki/

馬融撰. <馬季長集>.

孔子, 伏生. <尙書>.

歐陽修, 宋祁. <新唐書>. , https://ctext.org/wiki.pl?if=182378.

陶宗儀作. <說郛>. .

杜佑. <通典>. .

樂史. <太平寰宇記>. 北宋.

班固. <漢書>. 東漢.

房玄齡. <晉書>. .

范曄. <後漢書>. .

裵駰. <史記集解>. .

司馬遷. <史記>. 西漢. 朝鮮列傳. 臺灣商務印書館朕份有限公司, 1931.

張守節. <史記正義>. .

張延玉等. <明史>. .

陳壽. <三國志>. .

徐亮之撰. <中國史前史話>. 亞洲出版社, 1955.

孫星衍. <尙書今古文注疏>. . 中華書局, 2004.

阿桂等. <欽定滿洲源流考>. .

姚思廉. <梁書>. .

劉昫等. <舊唐書>. 後晉.

李吉甫撰. <元和郡縣圖志>[]. 中國古代地理總志叢刊. 中華書局, 2005.

李陌. <太白逸史>. 弘益人間財團, 2018.

李延壽. <南史>. .

李延壽. <北史>. .

李泰. 孫星衍 編著. <括地志>. , https://baike.baidu.com/itm.

魏徵等. <隋書>. .

張岱. <瑯環文集>1. 石匱室自序. .

陳橋驛, 葉光廷 注譯. <新譯水經注 ()>. 三民書局服彬有限公司, 2011.

脫脫. <遼史>. .

畢長襆. <中國人種北來說>

<漢書/地理志>

http://www.guoxue.com/shibu/24shi/hansu/hsu-039.htm.

令狐德棻. <周書>, .

薛居正. <舊五代史>, .

歐陽修. <新五代史>, .

托克托. <宋史>, .

托克托. <金史>, .

宋濂. <元史>, .

許愼. <說文解字>. 後漢.

和珅. <大淸一統志>. .

何幼琦. <海經新探>. 四川省社會科學院出版社, 1986.

<欽定四庫全書總目>. (四庫全書이하 四庫라 함).

<尙書註疏>. (四庫).

<書傳>. (四庫).

<尙書全解>. (四庫).

<禹貢指南>. (四庫).

<尙書精義>. (四庫).

<尙書要義>. (四庫).

<尙書通考>. (四庫).

<書蔡氏傳旁通>. (四庫).

<書經大全>. (四庫).

<尙書日記>. (四庫).

<尙書砭蔡編>. (四庫).

<尙書稗疏>. (四庫).

<尙書古文疏證>. (四庫).

<陳氏尙書詳解>. (四庫).

<融堂書解>. (四庫).

<尙書要義>. (四庫).

<書纂言>. (四庫).

<尙史>. (四庫).

<書經大全>. (四庫).

<尙書埤傳>. (四庫).

<禹貢長箋>. (四庫).

<禹貢錐指>. (四庫).

<尙書地理今釋>. (四庫).

<禹貢會箋>. (四庫).

<詩傳旁通>. (四庫).

<六家詩名物疏>. (四庫).

<虞東學詩> (四庫).

<周禮註疏>. (四庫).

<周禮詳解>. (四庫).

<周官總義>. (四庫).

<周禮訂義>. (四庫).

<周禮集說>. (四庫).

<周禮傳>. (四庫).

<周禮全經釋原>. (四庫).

<周禮註疏刪翼>. (四庫).

<周禮註疏刪異>. (四庫).

<周禮述註>. (四庫).

<周禮纂訓>. (四庫).

<周官集注>. (四庫).

<周官新義>. (四庫).

<禮說>. (四庫).

<禮記註疏>. (四庫).

<禮記集說>. (四庫).

<禮書綱目>. (四庫).

<五禮通考>. (四庫).

<春秋大全>. (四庫).

<春秋稗蔬>. (四庫).

<春秋分記>. (四庫).

<春明夢餘錄>. (四庫).

<程氏經說>. (四庫).

<古經解鉤沉>. (四庫).

<四書蒙引>. (四庫).

<四書釋地>. (四庫).

<爾雅註疏>. (四庫).

<爾雅注>. (四庫).

<釋名>. (四庫).

<大事記/大事記解題>. (四庫).

<大事記續編>. (四庫).

<御批歷代通鑑輯覽>. (四庫).

<通鑑紀事本末>. (四庫).

<逸周書>. (四庫).

<通志>. (四庫).

<路史>. (四庫).

<欽定周官義疏>. (四庫).

<欽定重訂契丹國志>. (四庫).

<欽定滿洲源流考>. (四庫).

<欽定續通志>. (四庫).

<春秋戰國異辭>. (四庫).

<戰國策>. (四庫).

<歷代名臣奏議>. (四庫).

<通鑑總類>. (四庫).

<十六國春秋>. (四庫).

<馬氏南唐書>. (四庫).

<唐開元占經>. (四庫).

<元和郡縣志>. (四庫).

<太平寰宇記>. (四庫).

<輿地廣記>. (四庫).

<明一統志>. (四庫).

<大淸一統志>. (四庫).

<河南通志>. (四庫).

<山東通志>. (四庫).

<山西通志>. (四庫).

<陝西通志>. (四庫).

<水經注集釋訂訛>. (四庫).

<水經註釋>. (四庫).

<行水金鑑>. (四庫).

<營平二州地名記>. (四庫).

<通典>. (四庫).

<唐會要>. (四庫).

<宋朝事實>. (四庫).

<文獻通考>. (四庫).

<欽定續文獻通考>. (四庫).

<欽定授時通考>. (四庫).

<皇朝通志>. (四庫).

<皇王大紀>. (四庫).

<錢通>. (四庫).

<群書考索>. (四庫).

<金石錄>. (四庫).

<史通>. (四庫).

<大學衍義補>. (四庫).

<黃氏日抄>. (四庫).

<讀書劄記>. (四庫).

<武經摠要>. (四庫).

<呂氏春秋>. (四庫).

<通雅>. (四庫).

<日知錄>. (四庫).

<潛邱劄記>. (四庫).

<義門讀書記>. (四庫).

<說郛>. (四庫).

<事實類苑>. (四庫).

<玉芝堂談薈>. (四庫).

<古今說海>. (四庫).

<藝文類聚>. (四庫).

<初學記>. (四庫).

<太平御覽>. (四庫).

<冊府元龜>. (四庫).

<古今事文類聚>. (四庫).

<記纂淵海>. (四庫).

<玉海>. (四庫).

<裨編>. (四庫).

<經濟類編>. (四庫).

<說略>. (四庫).

<天中記>. (四庫).

<圖書編>. (四庫).

<山堂肆考>. (四庫).

<廣博物志>. (四庫).

<御定淵鑑類函>. (四庫).

<玉壺野史>. (四庫).

<太平廣記>. (四庫).

<法苑珠林>. (四庫).

<李太白文集>. (四庫).

<河東集>. (四庫).

<河南集>. (四庫).

<樂府詩集>. (四庫).

<唐宋八大家文鈔>. (四庫).

<古樂苑>. (四庫).

<西漢文紀>. (四庫).

<欽定四庫全書考證>. (四庫).

<元朝典故編年考>. (四庫).

<歷代帝王宅京記>. (四庫).

<經稗>. (四庫).

<十一經問對>. (四庫).

<文苑英華>. (四庫).

<唐文粹>. (四庫).

<萬首唐人絶句>. (四庫).

<宋文鑑>. (四庫).

<御定全唐詩>. (四庫).

<欽定盛京通志>. (四庫).

<周禮職方氏>. (四庫).

<尙書講義>. (四庫).

<夏氏尙書詳解>. (四庫).

<禹貢說斷>. (四庫).

<詩地理巧>. (四庫).

<周禮綱目>. (四庫).

<三傳析諸/穀梁析諸>. (四庫).

<經典釋文>. (四庫).

<六經奧論>. (四庫).

<古經解鉤沉>. (四庫).

<通鑑地理通釋>. (四庫).

<皇王大紀>. (四庫).

<繹史>. (四庫).

<畿輔通志>. (四庫).

<說苑>. (四庫).

<大學衍義補>. (四庫).

<帝王經世圖譜>. (四庫).

<群書考索>. (四庫).

<御定分類字錦>. (四庫).

<歷代詩話>. (四庫).

<讀書紀數略>. (四庫).

<古文孝經傳>. (四庫).

<論語訓解>. (四庫).

사전

劉熙. 󰡔爾雅󰡕. .

<百度百科>https://baike.baidu.com/item/永平府/4692407?fr=aladdin#1

<中國古代地名大詞典>,中華博物,www.gg.art.com.

臧勵龢等. <中國古今地名大辭典>. 尙務印書館, 1982.

魏嵩山 主編. <中國歷史地名大辭典>. 廣東敎育出版社, 1995.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編輯局. 民衆書林, 2000.

지도

<大淸廣輿圖>. 1785. http://dl.ndl.go.jp/info:ndljp/pid/2543120

<中國交通地圖冊>. 西安地圖出版社編制 出版, 責任編輯 魏淑峰, 孫永剛, 2009.

<中國大陸現況圖>. 金蘋企業有限公司, 發行人 徐金平.

<中國歷史地圖集>. 地圖出版, 潭其驤主編, 1982.

<中國人民共和國分省地圖集>. 中國地圖出版, 1987.

<中國地圖>. 中國地圖出版社編制出版發行, 責任編輯 張紅.

<中國地圖>. 珊如圖書出版有限公司, 2006.

<中國地圖>. 山東省地圖出版社編制 出版, 山東省新華書店發行.

<中國地圖集>. 中國地圖出版社, 2007.

<中國地圖冊>. 山東省地圖出版社, 2009.

<新編實用中國地圖冊>. 中國地圖出版社, 張武氷, 晉淑蘭 編著, 2009.

<中華人民共和國地圖>. 成都地圖出版社編制 出版, 責任編輯 程海港.

<中華人民共和國地圖>. 成都地圖出版社編制 出版, 責任編輯 張國勇, 2005.

<中國國家地理>. 中國地圖出版社, 2018.

단행본

김육불. 동북아역사재단 번역. <김육불의 東北通史> ., 동북아역사재단, 2007.

_____, 발해사연구회 옮김. <신편 발해국지장편> , , , 도서출판 신서원, 2008.

-----. <봉천통지>, 요해출판사, 1934.

김태영. <동이배달한민족사>. 소호출판사, 2013.

-----. <동이배달한민족사>(개정증보판), 세계출판사, 2019.

柳正基 감수. <四書三經>. 明文堂, 1994.

王壽波著, 한정선역. <사기인문학>. 휘닉스드림, 2013.

曾先之原著, 金光州編譯. <中國歷史>. 한국출판공사, 1984.

논문

필자와 같은 주제의 논문으로는 국내외 학위논문이나 학술 논문은 한건도 없으나 다음과 같은 논문이 있다.

남의현. <1930년대 <봉천통지(奉天通志)>에 기록된 고구려(高句麗)와 수() 전쟁소개>. <강원사학회>28-0, 2016.

김태영. <高句麗遼東 遼西 位置에 대한 小考(고구려의 요동 요서 위치에 대한 소고)>. 세계출판사, 2019.

------. <高句麗鴨綠水 位置 硏究(고구려의 압록수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19.

------. <孤竹國位置 硏究(고죽국의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19.

------. <浿水位置 硏究(패수의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19.

------. <碣石山位置 硏究(갈석산의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19.

------. <高句麗遼東 位置 硏究(고구려의 요동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20.

------. <幽州營州位置 硏究(유주와 영주의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20.

------. <實學者 朴趾源󰡔熱河日記>에 기록된 歷史內容問題點 考察(실학자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기록된 역사내용의 문제점 고찰)󰡕. 세계출판사, 2019.

------. <實學者 丁若鏞歷史認識 批判(실학자 정약용의 역사인식 비판)>. 세계출판사, 2020.

------. <漢四郡虛構性과 그 位置 硏究(한사군의 허구성과 그 위치 연구)>. 세계출판사, 2020.

[Abstract]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ongcheontongji> with primary sources for Giju

Kim, Taeyou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ether the position of Giju described in 󰡔Bongcheontongji󰡕 is the same as that in primary sources. Therefore, we thoroughly reviewed, compared, and scrutinized the position of Giju recorded in 󰡔Bongcheontongji󰡕 and primary sources such as <Sangseo>, <Yousichunchu>, <Hyoenamja>, <Juraejikbangsi> as well as various sources, including <Tongjeon>, <Gwaljiji>, <Jungkookgokeumjimyoung dictionary>, <Jungkookkodaejimyoung dictionary>, <Jungkookyeoksajimyoung dictionary>.

These historical sources revealed that the position of Giju described in <Bongcheontongji> and recorded in primary sources was quite different. <Bongcheontongji> said that Giju, Yooju, Yoseo, and Youn were positioned in present Habuk and Yonyoung province. On the contrary, they existed in today’s Sanseo and the southwestern part of Sanseo province according to the primary sources.

Youkbul Kim’s opinion on Giju’s position is contradictory to that recorded in the primary sources as mentioned here. As a result, we found that Kim’s claim was a fiction. Therefore, <Bongcheontongji> should not be accepted as the facts of history.

Key words: Giju, Yooju, Yoseo, Youn, Hadong, Gojukguk, Suyang (Jungjo) mountain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김태영의 한민족참역사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pk

 

 


이전글  다음글  목록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