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8. 魚(어):
= 丿(별: 빛) +丶(주: 빛) + 車(거: 수레, 탈것, *78항 참조) + 灬(화: 불) = 魚 (우주의 강렬한 빛을 거슬러 물체 뒤에서 불의 에너지로 추진되는 탈것인 수레 즉 우주선(UFO)을 보고 상상하여 물고기어가 됨)
<자전상의 정의>: 물고기를 본떠, ‘물고기’의 뜻을 나타냄.
*해설:
魚(어)자를 아무리 자세히 관찰해 보아도 물고기 모양으로 생기지 않았다. 물고기에 불을 뜻하는 불화(灬)자가 붙은 것이 물고기 모양이라는데 동의할 수 없는 가장 큰 부분이다.
한자는 뜻글자다. 선조들이 글자를 만들 때 물고기에 불을 의미하는 화(灬)란 획을 넣을 하등 이유가 없다. 한자는 뜻글자로 매우 논리적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은유(隱喩)든 비유(比喩)든 직유(直喩)든 글자가 뜻하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광활한 푸른 창공을 뚫고 강렬한 우주의 방사선 빛을 거슬러 번개처럼 빠르게 추진했던 우주선(UFO)을 보고 영감을 받아 넓은 바다에서 재빠르게 움직이는 물고기의 글자를 생각한 것이다.
끝에 붙은 불(灬)은 빛을 뜻하는 심지주(丶)자가 네 개씩이나 붙어있는 글자로 빛의 속도만큼 빠르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빛같이 빠른 속도와 힘찬 추진력과 힘을 상징한 것이다.
동물과 생물을 뜻하는 한자(韓字) 글자에 불화(灬)자가 들어가 있는 이유는 힘과 추진력 그리고 순발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힘을 상징하는 곰웅(熊)에도 불화(灬)자가 붙어 있고, 까마귀오(烏)란 글자도 불화(灬)가 붙어있다. 힘차게 나는 새조(鳥)자도 예외 없이 불(灬)이, 제비를 뜻하는 제비연(燕)자에도, 힘차게 빨리 달리는 말마(馬)자에도 불화(灬)자가 조합을 이룬다. 이들 짐승들의 공통점은 힘, 순발력이다.
*글자뜻:
(1) 고기어(물고기) (2) 어대어(관리가 가지고 다니는 고기모양의 물건) (3) 말어(두눈이 흰 말) (4) 고기잡을어
자세한 내용은 www.coreanhistory.com 으로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김태영의 한민족참역사’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