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23일, AM 04:59:11 파리 : 5월23일, AM 11:59:11 서울 : 5월23일, PM 06:59:11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7)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10)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망국적인 식민사관에 언제까지 휘둘릴 것인가. 우리 민족의 참된 역사, 진실된 역사를 알리기 위해 평생을 싸워온 재야 사학자. 현재 뉴욕을 기반으로 한민족사관정립의식개혁회를 이끌고 있다.
총 게시물 410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글이 아니다

글쓴이 : 폴 김 날짜 : 2011-01-16 (일) 23:03:13

지금 까지도 우리는 세종대왕(世宗大王) 한글을 창제(創製) 것으로 알고 있으나 그것은 잘못이다.

단군조선(壇君朝鮮) 3 가륵(嘉勒) 단군 원년인 BC 2181 을보’"에게 명하여 가림토 38글자를 만들게 했다 사서(史書) 기록되어 있다. 당시에는 이글을 향서(鄕書), 국서(國書), 가명(假名)등으로 불렀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때까지 사용되어 오다가 고려(高麗) 중엽때 글자를이두문(吏頭文)’이라고 고쳐 불렀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걸안족의 걸안문과 여진족의 여진문도 이두문’을 모방한 것이었다. 단재(丹齋) 신채호 선생이 지은 <조선상고사>에도진흥왕 순수비 같은 옛비에도 이두문으로 적은 ()가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세종대왕(1418 – 1450) 때는 이두문을 언문(諺文) 또는암클’이라고 불렀다.언문’이란상놈의 글”이란 뜻이며암클’이란 여자들이 사용한 글자란 뜻으로 사대주의의 극치를 이룬, 당시의 우리글을 비하(卑下)하여 부르던 이름이다.

<세종실록> 기록에形而字倣古篆(형이자방고전) 형태는 옛글자를 본떠 만든 글자다”라고 되어 있고, 당시 집현전 부제학이던 만리의 상소문의 기록을 보면, “此斯諺文前朝有之 諺文계本文字非新字也(차사언문전조유지 언문계본문 자비신자야) 언문은 전조(고려조高麗朝)부터 있었던 것이며, 언문 모두로 되어있는 글자 (세종대왕이 창제했다는 글자) 새로운 글자가 아니다” 라고 하였다.

또한 인지(1396 – 1478) <발원문>에도글자의 모양은 옛날 전자의 모양을 본떳고 소리를 따랐다. 자음은 일곱 가락에 어울리게 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한글이 창제(創製 처음으로 만들어짐) 것이 아님을 나타내고 있다.

1894 고종31 갑오개혁(甲午開革) 언문(諺文) 국문(國文)이라고 고쳐 부르다가 1913 주시경(1876 – 1914) 선생에 의해한글’이란 이름으로 불러지게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한글’이라고 부르지만 현재(現在) 우리와 똑같은 글을 사용하고 있는 북한에서는조선어 자모’라고 부르고 있다.

 

www.ko.wikipedia.org

따라서 한글이 1443 12월에 세종대왕이 28글자를 창제했다고 믿는 것은 잘못이다. 그후 어떤 이유에서 인지 4글자는 없어지고 지금은 24글자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단군조선(壇君朝鮮)때인 BC 2181 년에 만들어진 글자로 4,192(2011년 현재) 장구(長久) 역사를 지닌 자랑스런 글자다.

이라크(Iraq) 유프라테스강(Euphrates River) 티그리스강(Tigris River) 사이에서 500년간 소가 끄는 쟁기를 사용하여 농사을 짓고 살던,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일으킨 슈메르 민족 (Sumerians) 글자(설형문자, 쐐기문자 혹은 Cuneiform system of writing) 우리 한글과 기본글자의 뜻이 같다면 이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1940 7 경북 안동에서 발견된훈민정음 해례본’에 인지가 서문(序文)끝에 1446 9 상순(上旬)이라고 적혀 있는 날짜에 근거하여 한글의 역사를 2011 현재 565년으로 보는 견해(見解) 있고 세종실록에는 1443 12월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들 한글 창제의 진짜 역사가 아니다.

오늘날 한글을 널리 보급한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공적은 높이 평가할 일이지만 어떤 점에서는 본래 38글자였던 것을 28글자로 축소했다는 비판을 받을 만도 하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