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歸(귀):
= 阜(부: 언덕, 토산, 작은 산) + 止(지: 오다, 도착하다) + 彐(계; 돼지 머리) + 冖(멱: 덮다, 구획으로 나누다) + 市(시: 사람과 상품이 많이 모이는 곳, *53항 참조) = 歸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돼지머리를 가지고 토산에 도착하여 제사를 지내고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다시 돌아오다)
<자전상의 정의>:
본래, 自+帚, ‘x퇴’는, 신(神)에게 바치는 날고기의 象形. ‘帚추’는 비를 본뜬 모양. 사람이 돌아왔을 때 정결히 한 장소에서 신(神)에게 감사드린 모양에서, ‘돌아오다’의 뜻을 나타냄. 뒤에, ‘발’의 뜻을 나타내는 ‘止지’를 덧붙여, 그 뜻을 분명히 했음.
*해설:
귀(歸)자는 토산을 뜻하는 부(阜), 도착하다의 뜻인 지(止), 돼지머리의 계(彐), 구획을 나눈다는 의미의 멱(冖), 사람들이 살고 있는 시(市)로 만들어진 글자다.
고천제(告天祭)를 지내기 위해 산(山)같이 높게 흙으로 쌓은 곳인 제단에 올라가 제물인 돼지머리로 제사를 지내고 자신들이 살고있는 지역 즉, 집으로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의 글자다.
돌아오는 것도 귀이고 돌아가는 것도 귀이니 귀라는 글자가 들어간 문장의 문맥에 따라 해석하면 된다.
*글자뜻:
(1) 돌아올귀 (2) 돌아갈귀 (3) 돌려보낼귀 (4) 보낼귀 (5) 따를귀 (6) 시집갈귀 (7) 마칠귀 (😎 뜻귀
자세한 내용은 www.coreanhistory.com에서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김태영의 한민족참역사’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