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稅(세):
= 禾(화: 벼) + 八(팔: 여러 사람) + 口(구: 말하다) + 儿(인: 어진 사람) = 稅 (어진 사람의 지혜로운 말씀을 듣기위해 많은 사람들이 감사의 표시로 벼를 가지고 모여들다의 뜻에서 구실세)
<자전상의 정의>:
禾+兌(音). ‘兌태’는‘빠지다’의 뜻. 자기의 한 해 수확 중에서 빠져 나가는 곡류(穀類)의 뜻에서, ‘조세(租稅)의 뜻을 나타냄. 한한대자전. 민중서림, 2000, 쪽 1493-1494.
*해설:
세(稅)자는 벼화(禾), 많은 사람을 뜻하는 팔(八), 말하다의 입구(口), 어진사람의 뜻인 인(儿)의 합성어다. 농경사회에서의 모든 가치 기준은 벼인 쌀이다.
어진 사람의 가르침을 듣기위해 벼를 싸들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는 데서 세(稅)란 글의 어원을 찾을 수 있다.
1776년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했다. 세금을 부과하는 본국에 불만을 품은 식민지 사람들의 반감 때문이였다.
세금징수가 넉넉지 못하면 국가를 운영하기가 어렵고, 가혹한 세금은 국민들의 불만을 초래한다. 적절한 세금부과는 정책 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세(稅)란 글자에서 알 수 있듯이 어진사람들이 정치를 하면 국민들이 어진사람들에게서 지혜를 배우기 위해 스스로 세금을 내게 될 것이다. 잇속밖에 모르는 위정자들은 동이배달한민족 선조들이 창조한 뜻글자 세(稅)자에서 교훈(校訓)을 얻기 바란다.
*글자뜻:
(1) 구실세 (2) 거둘세 (3) 놓을세 (4) 보낼세
자세한 내용은 www.coreanhistory.com에서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김태영의 한민족참역사’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