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23일, AM 08:17:49 파리 : 5월23일, PM 03:17:49 서울 : 5월23일, PM 10:17:49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7)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10)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로창현의 뉴욕 편지
가슴따뜻하고 정의로운 세상을 염원하는 중견기자의 편지. 1988년 Sports Seoul 공채1기로 언론입문, 뉴시스통신사 뉴욕특파원(2007-2010, 2012-2016), KRB 한국라디오방송 보도국장. 2006년 뉴아메리카미디어(NAM) 주최 ‘소수민족 퓰리처상’ 한국언론인 첫 수상, 2009년 US사법재단 선정 '올해의 기자상' CBS-TV 앵커 신디슈와 공동 수상. 현재 '글로벌웹진' 뉴스로(www.newsroh.com) 편집인 겸 대표기자. 팟캐스트방송 ‘로창현의 뉴스로NY’ 진행

총 게시물 497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맨해튼 독립유적지 94년역사 뉴욕한인교회 마지막 예배

일제시대 독립지사 산실…7월부터 철거 재건축 
글쓴이 : 노창현 날짜 : 2015-06-30 (화) 05:46:33


DSC_0812.jpg

 

"나라사랑 대한의 넋이 깃들고 열사들이 드높은 꿈을 안고 노래하며 날개를 펴던 곳" <20101128일 재미한인사적지 지정문>

 

일제의 한반도 강점기에 수많은 독립지사와 망명 유학생들이 조국 독립의 의지를 불태우던 곳. 애국가가 작곡된 피아노가 있는 역사의 현장. 70년대 조국 민주화운동의 성소였던 곳.


 

DSC_0810.jpg

   

미동부 최초의 한인교회 뉴욕한인교회가 28일 마지막 예배를 끝으로 역사속에 사라집니다. 다음달부터 현재의 4층 건물은 단계적 철거에 들어가며 18개월후엔 신축빌딩으로 재탄생할 예정입니다. 현재의 건물에선 마지막 예배가 된 셈이지요.

 

뉴욕한인교회는 삼일절 2주년인 192131일 뉴욕타운홀에서 열린 한인연합대회 기념식에서 창립의 뜻을 모아 미국 감리교회를 빌려 쓰다가 1923년 건물을 마련했고 1927년 현재의 건물을 매입 이전,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DSC_0831.jpg

DSC_0829.jpg

 

 

뉴욕한인교회는 서재필 이승만 조병옥 김활란 김도연 장덕수 정일형 등 근현대 한국정치지도자들의 거점으로 활용됐고 각종 강연회와 토론회를 벌인 한인사회 활동의 중심지였습니다.

 

그런 소중한 역사가 서린 곳이기때문이었을까요. 이용보 담임목사를 비롯, 교인들은 내일의 설레임보다 소중한 미주한인의 역사가 담긴 곳과 영원한 이별을 한다는 아쉬움이 가득해 보였습니다.

 

이날 예배엔 현 교인들과 그간 이 교회에 출석한 전 교인들까지 소식을 듣고 달려와 100석 규모의 1층 본당은 물론, 지하1층 부속예배실까지 입추의 여지없이 가득 찼습니다.


 

DSC_0839.jpg

 

DSC_0835.jpg


 

명문 컬럼비아대 코 앞인 115가 교회 앞에서 교인들은 옛 지인들과 얼싸안고 반가워하면서도 마지막 예배일이라는 현실에 어쩔줄 몰라 했습니다, 이용보 목사도 오랜 세월속에 퇴색한 뉴욕한인교회' 현판 앞에 선 채로 그런 모습들을 하나씩 눈에 담고 있더군요.

 

 

DSC_0800.jpg

DSC_0826.jpg

 

애조 띤 바이올린의 연주와 함께 오전 11시 시작된 예배에서 이용보 목사는 "1927년 당시 한인들은 통틀어 100여명에 불과했다 1927년 이 건물의 싯가가 35천달러였는데 이전 건물 매각대금 17천달러, 미국감리교회 지원금 12천달러에 유학생과 한인동포 20명이 모은 6천달러로 매입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당시 미국은 경제대공황의 시기여서 사상 최악의 불경기였습니다. 하루 종일 일해도 5달러 벌기도 힘든 시절, 한인들은 남의 집에서 허드렛일을 하거나 조지워싱턴 브리지 공사현장에서 막노동을 하며 번 돈을 십시일반, 모아 6천달러를 모았습니다.

 

 

DSC_0813.jpg

 

이용보 목사는 "생계도 어려운 경제대공황의 시기에 백인들과 감히 식탁에 마주할 수도 없는 지독한 인종차별을 견디며 우리 선조들이 뼈빠지게 일하며 성금을 모은 것은 대단한 신앙의 열정과 민족을 향한 독립의 열정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용보 목사는 뉴욕한인교회의 영어 이름이 'Korean Church and Institute(교육기관)'으로 된 것은 예수님의 성전인 동시에 민족적 국가적 봉사를 해야 하기 위해 지어졌음을 의미한다. 신앙생활과 사회생활의 병행을 존재의미로 삼고 개척정신과 신앙을 갖고 출발했다. 민족해방 70주년을 맞아 이제 새로 짓는 건물은 자랑스러운 역사를 계승 발전하는 성소가 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DSC_0873.jpg

DSC_0846.jpg

 

이날 옛 교인들은 연단에 나와 뉴욕한인교회의 지나간 날들을 회상하기도 했습니다. 뉴욕한인교회에서 청년기를 보냈다는 60대 남성은 "교회건물 3층 기숙사에서 생활했다. 당시 성가대 활동을 했는데 테너 박인수, 김남윤 등 쟁쟁한 성악가들이 같은 멤버였다"고 돌이켰습니다.

 

 

DSC_0944.jpg

DSC_0842.jpg

DSC_0858.jpg

 

1955년 유학을 와서 교회에서 결혼식도 올렸다는 장혜원 장로는 "생활비가 없는 학생들이어서 일주일에 10달러를 내고 대학을 마칠 때까지 4년을 살았다. 이곳에 오면 김치도 먹고 모두에게 고향같은 곳이었다. 어르신중에 이승만 박사와 함께 일한 분이 계셨는데 독립운동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고 전했습니다.

 

 

 

DSC_0945.jpg

 

DSC_0942.jpg

 

DSC_0849.jpg

 

 

이날 축도를 맡은 김병서 원로목사는 1970년부터 5년간 10대 목사로 재직한 주인공이어서 더욱 감회어린 모습이었다. 김병서 목사는 "45년전 39세로 이 교회에 부임했다. 그시절 장로님 권사님 집사님 오늘 뵙게 되어 기쁘고 반갑다. 가장 뜻이 있었다면 1971년에 한인교회 50주년 기념예배를 유니온신학교 제임스홀에서 올린 일이다. 이제 새로운 건물을 짓는데 바라기로는 Preaching(설교)Teaching(가르침), Healing(치유), 이 세가지를 꼭 실천해주는 성전이자 커뮤니티센터가 되기를 바란다"고 소망했습니다.

 

한편 미주한인 독립운동의 산실인 뉴욕한인교회 건물이 한미헤리티지재단에 의해 재미한인사적지로 지정됐음에도 끝내 사라지게 된 것에 대해 많은 한인들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뉴욕한인교회 내부에서도 철거후 신축을 놓고 팽팽한 의견대립이 있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건물 노후화로 안전 문제가 대두된데다 지난 40년간 보존 문제를 놓고 숙고를 거듭하고 내린 결정이라는게 교회측의 설명입니다.


DSC_0959.jpg

 

그러나 다수의 한인들은 "뉴욕한인교회는 하나의 교회가 아니라 일제하 독립운동의 산실이자 대한민국을 건국한 지도자들이 다수 거쳐간 성지와도 같은 곳이다. 더구나 세계의 중심인 맨해튼에 있는 오직 하나뿐인 역사적 장소인데 이대로 허물어야 한다는게 너무나 안타깝다. 대한민국 정부가 진작에 관심을 갖고 교회건물의 역사성을 건물 매입 등 근본적인 대처를 했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뉴욕한인교회는 7월부터는 인근 114가 미국장로교회 건물을 빌려 새 건물이 완공될 때까지 예배를 드리게 됩니다.

 

 

DSC_0868.jpg

 

* 에필로그

 

이날 이용보 목사는 예배를 끝내면서 기자들에게 특별한 당부를 하더군요.

 

"오늘 이 자리에 기자들이 여러분 오셨습니다. 역사적인 곳에서 마지막 예배를 드리는 것에 관심을 갖고 와주셔서 고맙습니다. 한가지 부탁 드리자면 대한민국 정부를 잘 좀 써달라는 겁니다. 뉴욕한인교회 건물에 대해 정부가 무심하다 뭐 이런 기사들이 나가니까 보훈처에서 마음 불편한가봐요..불편하면 제대로 해주시지.(교인들 웃음)..그러니까 호소력있게 잘 써주세요.."

 

 

DSC_1088.jpg

 

 

뉴욕민족운동의 거점 뉴욕한인교회

 

뉴욕한인교회는 삼일절 2주년인 192131일 뉴욕타운홀에서 열린 한인연합대회 기념식후 서재필 박사와 정한경 조병욱 등 당시 한인유학생들과 킴벌랜드 여사 등 미국인들이 한인교회 창립의 뜻을 모으고 매디슨애버뉴의 감리교회 삭크만 목사의 주선으로 현지 교회를 빌려쓰다가 1923년과 1927년 두차례 이전을 통해 현재 위치에 자리잡게 됐다.

 

뉴욕한인교회 한영안내문에 따르면 창립이후 수많은 애국지사가 이곳에서 기숙하거나 거쳐갔다. 서재필 이승만 조병옥 김활란 김도연 장덕수 정일형 등 근현대 한국정치지도자들의 거점으로 활용됐고 각종 강연회와 토론회를 벌인 한인사회 활동의 중심지였다. 뉴욕 인근 한인들이 독립운동 자금을 건네려고 찾은 곳이었고 해방전후 한인회와 학생회 국민회 동지회 흥사단 등 각종 단체들의 집회와 일시 거소로 활용됐다.

 

 

DSC_1027.jpg

 

뉴욕한인교회는 조선의 문화를 알리는 거점 역할도 했다. 교회 학생들을 주축으로 '재미조선문학회'를 조직하고 컬럼비아대학에 한국도서관을 창설했다. 이들은 미주에 조선문화의 중심지를 설치하고 조선의 문화를 외양에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1921년부터 1941년까지 학생신문 'The Korean Student Bulletin'을 월간과 계간으로 발행했고 주미조선학생총회 기관지 'The Rocky'를 발행하는 등 조선문화의 홍보활동도 활발히 진행했다.

 

최초의 한글타자기가 만들어진 곳도 뉴욕한인교회다. 타자기는 1913년 이원익이 처음으로 영어타자기를 한글타자기로 개조한 것이 효시이며, 한글타자기는 뉴욕한인교회에서 송기주, 김준성 목사 등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다가 1949년 공병우가 이를 개량해 '공병우 타자기'로 성공을 거뒀다.

 

뉴욕한인교회엔 특별한 피아노가 있다. 작곡가 안익태가 애국가를 작곡할 때 사용한 것이다. 최초의 애국가 연주도 바로 뉴욕한인교회에서 있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