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18일, AM 02:11:21 파리 : 5월18일, AM 09:11:21 서울 : 5월18일, PM 04:11:21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Kor-Eng
·Yunsun’s Hudson Diary’ (17)
·그린치의 사이드웍 (16)
·이기동의 美교직인생스토리 (7)
·이명동의 세계인 한국인 (123)
·하비니의 Howdoin (3)
이명동의 세계인 한국인
Going beyond the ethnic background while retaining our core value is the ideal for any and every American. Nowadays, each one of us belongs on the world stage. It's up to each one of us how far we can go on that stage. It is a long, and demanding journey, at the same time, interesting, wonderful, rewarding task. This writing is a part of that task. - Dr. Myong D. Lee

총 게시물 123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Madiba 마디바’ - 감옥에서 전설이 된 사람

글쓴이 : 이명동 날짜 : 2013-12-13 (금) 10:17:31


 

The whole world is paying respect to Nelson Mandela. The question is why and how he became the man who command the respect and love. It is a very interesting human story as to how a man becomes a hero of such magnitude. This is a story which can teach us much about ourselves and the world, especially, at the time when respect and true hero are very rare.


 


 

 

photo by 최경자


 


 

To understand how Madiba, a boy from a small and poor village, had evolved into one of the most revered leaders in the world, we have to look at the person in his particular historical setting. It is the story of how he handled the situations forced upon him, and how he created the situations for other people.





Looking at him at the personal level, words like character, vision, insight, perspective, wisdom, courage, humor, initiative, humility, patience, and a dose of good luck come to mind. These are many words to describe a person but they fit him. Maybe not at every stage of his life, but each word can describe a particular time in his life. Some other words found to describe him are tolerance, compassion, generosity, eloquence, and a man of action.





He was a proud, courageous, and eloquent man with a sense of humor who found a cause he can be passionate about. The cause was the right cause with the history on its side. Apartheid was an attitude, let alone as a policy, not acceptable in South Africa and all over the world. In a way, the rest of the world made him the man he had become. Sanctions, boycotts, and demonstrations from outside forced the hands of the Apartheid government. The anti-Apartheid movement needed a face to rally around, and Mandela was chosen to be the face. The whole world was demanding "Free Nelson Mandela." In prison, he was already becoming a legend. There were bloody uprisings inside South Africa, and Apartheid South Africa wasn't functioning.

South Africa is a very complicated country in the sense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groups with many different agenda; tribal, cultural, racial, religious, political, and economic. To bring all of them together has been very difficult. In fact, the greatness of Mandela lies in the attempt to bring as many factions as possible together to create the free, democratic South Africa.




 

 

photo by 최경자


 


 

In his younger days, he wanted black South Africa. But he grows into the idea of multiracial country. Some claim his association with the Communist Party helped him form that belief because "the Communist Party was the only partner in the movement that included whites, Indians, and mixed-race members." Once he was an advocate for "armed struggle" and the press described him as "the Black Pimpernel." but later, at his trial, he claimed that "I have cherished the ideal of a democratic and free society in which all persons will live together in harmony with equal opportunities."





He learns to talk to and to understand the Africaaners in the prison: learns Africaans. He starts the negotiation with government in the prison which brings the relaese of him from the prison and the free election where everybody has the right to vote. The rest is, as the saying goes, the history.





With his character, vision, and practicality Mandela chose the right path for the Country. Abraham Lincoln was from poor, isolated place and the family not well educated, but he had the inner confidence, insight, and the strength of character. When Lincoln ran for the Presidency he was not the best known candidate, but he knew he could win. His rivals, later, realized he was better than them as a leader, and worked for him. He had the confidence and magnanimity to bring his rivals into his camp. Both of them had continually evolved for the better by transforming himself along the way. Lincoln, also, chose the right path for his Country.





Now, Madiba belongs 'to the ages' just like Abraham Lincoln.


 
 
 

photo by 최경자

 
 



마디바





세계가 넬슨 만델라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다. 그가 세계인들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는 이유는 왜일까. 엄청난 영웅이 된 남자의 휴먼스토리는 적잖이 흥미롭다. 존경받는 진실한 영웅을 보기 힘든 세상에 우리에게 교훈이 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작고 가난한 마을의 한 소년에서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지도자로 자리한 마디바(Madiba 만델라의 존칭)를 이해하려면 특별한 역사적 배경속에 있던 그를 들여다봐야 한다. 그가 자신을 강제한 환경에 어떻게 대응했고 다른 사람들의 조건들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말이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그를 들여다보면 기질이나 비전, 통찰력, 균형감각, 지혜, 용기, 결단력, 겸손, 인내, 그리고 약간의 행운을 생각할 수 있다. 한 사람을 묘사하는 이러한 단어들은 그에게 꼭 들어맞는다. 아마도 그의 인생 전반은 아니더라도 각각의 단어는 그의 생애에 특정한 순간에 어울린다. 그를 위한 또다른 표현들을 찾자면 관용과 연민, 관대함, 화술, 활동가가 나올 것이다.


 


 

그는 자부심 많고 용기있으며 웅변을 잘하고 열정의 이유를 찾는 유머감각이 있었다. 그 이유는 그쪽 편의 역사에서 적절한 이유였다. 아파르트헤이드(인종차별정책)는 남아공과 세계 모든 곳에서 용인되지 않는, 정책은 고사하고 하나의 반항이었다. 한편으로 다른 나라들은 규제나 보이코트 데모 등으로 아파르트헤이드 정부의 손을 뿌리쳤다. 반 아파르트헤이드 운동은 힘을 한데 합치기 위한 ‘얼굴’을 필요로 했고 만델라는 그 얼굴로 선택되어졌다. 전 세계는 ‘넬슨 만델라의 자유’를 요구했다. 감옥에서 그는 이미 전설이 되었다. 유혈폭동이 일어났고 남아공 정부는 기능을 상실했다.


 


 

 
photo by 최경자


 


 

남아공은 다양한 계층과 종족과 문화, 인종, 종교, 정치, 경제 등에 걸친 다양한 아젠다를 갖고 있는 아주 복잡한 나라이다. 그들 모두를 끌어오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사실 만델라의 위대함은 자유롭고 민주주의적인 남아공을 세우기위해 가능한 힘을 합치도록 많은 파벌들을 끌어모은 노력에 기인한다.





젊은 날 만델라는 흑인국가 남아공을 원했다. 그러나 그는 다인종국가가 이상적이라는 성숙한 사상을 갖게 되었고 일정 부분은 공산주의와도 관련을 맺었다. 공산당이 백인과 원주민 혼혈인들을 포함한 운동을 하는 유일한 파트너였기 때문이다. 한때 그는 무장투쟁을 옹호하기도 했다. 언론은 그를 ‘블랙 핌퍼널(Black Pimpernel)’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훗날 재판을 받을 때 그는 “나는 모든 사람들이 함께 조화롭게 동등한 기회를 갖는 자유민주사회의 이상을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감옥에서 모든 아프리카 사람들과 대화하고 이해하는 법을 배웠다. 아프리카의 언어들을 배웠다. 그는 자신을 감옥에 넣은 정부와 교섭을 시작했다. 그는 감옥에서 나왔고 모든 사람이 투표권을 갖는 자유로운 선거가 시작됐다. 이후 이야기는 말 그대로 역사가 된 것이다.





그의 성격과 비전을 볼 때 실제로 만델라는 나라를 위한 옳은 길을 선택했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가난했으며 외진 곳에서 교육도 잘 받지 못한 가정 출신이었다. 그러나 그는 내적으로 확신과 통찰력, 강인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 링컨이 대통령에 출마했을 때 그는 잘 알려진 후보자가 아니었지만 승리하는 법을 알고 있었다. 훗날 경쟁자들은 링컨이 자신들보다 뛰어난 지도자라는 것을 깨닫게 됐고 그를 위해 함께 뛰었다. 링컨은 자신의 선거본부로 경쟁자들을 규합하는 확신과 담대함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 모두는 끊임없이 링컨이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며 앞을 향해 나아가도록 했다. 링컨 또한 옳은 길을 선택했다.





바야흐로 마디바는 에이브러햄 링컨과 같이 ‘역사속의 모든 사람들’을 아우르고 있다.




 photo by 최경자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