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21일, PM 10:02:16 파리 : 5월22일, AM 05:02:16 서울 : 5월22일, PM 12:02:16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세계필진
·김원일의 모스크바 뉴스 (70)
·김응주의 일본속 거듭나기 (7)
·배영훈의 인도차이나통신 (1)
·빈무덤의 배낭여행기 (102)
·쌈낭의 알로 메콩강 (31)
·안정훈의 ‘세상사는 이야기’ (252)
·이홍천의 일본통신 (4)
·장의수의 지구마을 둘러보기 (24)
·제홍태의 발칸반도에서 (14)
·최경자의 남아공통신 (69)
·황선국 시인의 몽골이야기 (15)
김원일의 모스크바 뉴스
모스크바대 정치학박사, 모스크바에서 러시아아내와 네아이들과 함께 일하며 공부하며 살고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다양한 러시아소식을 전해 드리고 싶습니다.
총 게시물 70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싸워! 옐친 네가 맞아”

에카테린부르그 옐친박물관에서
글쓴이 : 김원일 날짜 : 2021-11-30 (화) 17:42:25

에카테린부르그 옐친박물관에서

 

 

 

옐친박물관은 옐친센터내 2층에 상당히 큰 규모로 자리잡고 있었다.

 

옐친센터는  에카테린부르그에서 가장 최신식 건물인 33층짜리 비즈니스센터 데미도프와 바로 이웃한 새로 지은 건물이었다.


 


옐친박물관은 마치 옐친을 신격화, 영웅화 한 것은 아닌가 싶을 만큼 옐친을 찬양하는 내용 일색으로 꾸며져 있었다.

 

박물관 입구엔 사회주의 몰락(沒落)과 러시아 민주화 시기에 옐친을 지지하는 여성이 "싸워! 옐친 네가 맞아"라고 쓰인 피켓을 들고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크게 전시되어 있었다. 이 여성 사진과 비슷한 내용이 담긴 사진들은 이후에도 전시관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싸워! 옐친 네가 맞아" 이 박물관의 건립 취지를 잘 알려주고 있다 


박물관은 여러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졌다.

 

첫번째 전시실에선 매우 큰 화면으로 3D 애니매이션 동영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동영상은 약 10분정도 이어졌는데 소리없이 화면만으로 러시아역사를 개괄(槪括)하는 내용이었다.


 



사회주의혁명 이전과 이후를 약 절반씩 분량으로 나누어 이전은 문제 있었던 황금시대 이후는 그야말로 암흑시대로 묘사했다. 그리고 동영상 마지막 부분은 사회주의 압제로부터 러시아를 해방한 해방자로 옐친을 찬양하는 내용이었다.

 

다른 방문객들은 동영상을 보지 않거나 잠시 보고 지나쳤지만 나는 두 번을 감상했다.

 

우선 3D 동영상기술이 놀랍도록 실감나게 잘 구현되어 있었다. 그리고 고대로부터 사회주의 몰락과 새로운 러시아 출발까지의 러시아역사를 짧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서술한 것이 매우 강한 인상을 남겨 주었기 때문이다.



 

이후 전시관들엔 옐친의 에카테린부르그에서 활동상과 중앙정계로 진출한 후에 모스크바에서의 활약상, 민주화운동을 이끌던 시기의 모습들이 담겨져 있었다.

 

마지막관엔 자신의 퇴임을 알리는 역사적인 2000년 새해  인사말을 촬영할 당시의 크레믈린 집무실을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당시 촬영 카메라도 그대로 놓여있었고, 퇴임을 알리는 인사말도 낡은 브라운관 텔레비전에서 계속 틀어주고 있었다.



 

전시실 관람을 마치고 밖으로 나오자 빈 의자에 홀로 앉아있는 사람 모습의 동상이 보였다. 실물크기의 옐친 동상이었다. 함께 사진 찍고 싶은 마음에 박물관 직원에게 부탁하여 사진을 한 장 남겼다.


 


"역사와의 공존"-- 러시아를 여행할 때마다 자주 생각나는 말이다.



옐친이 에카테린부르그에서 타던 차량

 


에카테린부르그 시청과 시의회가 자리잡은 중앙광장엔 매우 커다란 레닌 동상이 늠름하게 서 있었다. 이 동상을 보았을 때 사회주의를 무너뜨린 옐친의 고장 에카테린부르그 중심부에 아직도 레닌동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청과 의회가 있는 도시 중심가 큰 레닌동상이 아직도 건재하다.

소련을 무너뜨린 옐친의 근거지에 레닌동상이 늠름히 서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곳 에카테린부르그에서도 역사와의 공존에 익숙한 러시아문화를 다시 한번 엿볼 수 있었다.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김원일의 모스크바 뉴스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kwil&page=2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