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29일, AM 03:51:38 파리 : 5월29일, AM 10:51:38 서울 : 5월29일, PM 05:51:38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한국필진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352)
·국인남의 불편한 진실 (11)
·김영기의 민족생명체 (18)
·김정권(Quentin Kim)의 음악 (6)
·김지영의 Time Surfing (25)
·김해성목사의 지구촌 사랑나누기 (62)
·노이경의 사람과 사람사이 (2)
·박기태의 세계로가는 반크 (114)
·박상건의 삶과 미디어 읽기 (5)
·서경덕의 글로벌코리아 (5)
·소곤이의 세상뒷담화 (166)
·유현희의 지구사랑이야기 (12)
·이래경의 격동세계 (146)
·이재봉의 평화세상 (114)
·이춘호의 이야기가 있는 풍경 (5)
·정진숙의 서울 to 뉴욕 (22)
·최보나의 세상속으로 (7)
·켄의 글쟁이가 키우는 물고기 (6)
·한종인의 자연 메詩지 (167)
·혜문스님의 제자리찾기 (28)
·황룡의 횡설수설 (150)
·흰머리소년의 섞어찌게 세상 (10)
김지영의 Time Surfing
1979년 문화방송․경향신문 입사후 신문사 사회부장 경제부장 논설위원 편집국장 편집인(상무)을 역임. 한국신문윤리위원, 언론중재위원,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이사 및 언론위원회 위원장, 한국카톨릭언론인협의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고 숙명여대 홍익대 대학원 등에서 강의했다. 2007년부터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심의위원으로 재직중이다. 최근 저서로 한국 언론의 문제점인 피동형저널리즘을 날카롭게 파헤친<피동형기자들>이 있다.

총 게시물 25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꿈이여, 멀리 가다오

해우당 일기
글쓴이 : 김지영 날짜 : 2018-01-11 (목) 09:41:05

   

 

겨울이 깊어지면 무섬 마을은 적막(寂寞) 속으로 빠져든다. 관광 민박이 주업처럼 돼 늘 사람들의 행렬이 이어지는 마을이지만, 한겨울에 접어들면 관광객의 발길이 뜸해진다. 추위가 몰아칠 때는 대낮에도 밖에 나다니는 사람을 구경하기 어렵다. 이런 날 밤, 마을은 칠흑같은 어둠에 소리없이 묻히고 하늘의 달과 별만 더욱 창백하게 금속성 빛을 발한다.

 

물론, 눈이 내리는 날은 다르다. 물도리동 전통마을의 아름다운 설경을 찾아오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겨울동안 대개 마을사람들은 음식을 나누거나 바둑을 두면서 느릿느릿, 나지막하게 사는 얘기를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외지의 자식들 걱정을 하면서, 묵묵히 봄을 기다린다. 이러한 겨울 무섬의 적막한 서정이 나는 흡족하다.

 

보일러시설을 갖추지 않은 해우당에서 아궁이 불을 때는 자취를 하며 무섬의 겨울을 나는 일이 쉽지는 않다. 하지만, 겨울이 되면 번잡하게 변하기 전 옛 무섬마을의 정취가 희미하게 되살아난다.

 

또 지금 나는 평생 서울에서 벌인 생존의 여정과 나 자신의 타성에 대해 한 발짝 물러나서 다시 보고자 하는 중이다. 종착지도 아련하게 짐작해보면서 잊을 건 잊고, 줄일 건 줄이고, 버릴 건 버림으로써 영육간에 더 간결하고 자유로워지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 이러한 때, 추위와 불편, 외로움, 적막함은 내 존재를 더 멀리 독립적으로 데려가면서, 오히려 좋은 친구가 된다.

 

그런데, 마음대로만 되지는 않는다. 한밤중, 잠자는 나에게 가끔씩 나타나는 악몽들이 의식세계에 불연속선을 형성한다. 한동안 멀리 가버린 줄 알았던 두가지 꿈, 그 꿈들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 다시 한겨울 밤중에 무섬마을 해우당의 사랑채까지 나를 찾아온다.

 

첫 번째 꿈은 젊은 날 연거푸 대입시에 실패했던 방황과 좌절을, 두 번째 꿈은 안기부 지하실에서 고문을 받았던 억압과 이 일을 둘러싼 배신감이 각각 여실히 재생된 것이다.

 

어릴적 우리 집은 무척 부유했으나 어느 순간부터 가세(家勢)가 형편없이 기울었다. 그리고 중학교 3학년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난 뒤부터 어린 마음은 정처없이 떠다니며 방황했다. 삶 자체도, 대학입시도 아무런 의미가 없어 보였다. 어릴때부터 공부를 곧잘 했던 나였지만 고교시절, 공부에는 뜻이 없었고 문학과 문예반활동에 심취했다. 준비없이 맞닥뜨렸던 전기 대학입시의 실패, 그리고 시작한 재수였지만 또 실패.

그 뒤 평생, 중요한 일을 앞둔 나에게는, 준비하지 않고 있다가 당황하고 실패하는 꿈이 나타나곤 했다. 소스라쳐 꿈을 깨면 식은 땀이 흐르곤 했다.

 

두 번째 꿈은 경향신문의 학원안정법기사와 관련된 것이다. 1985725, 경향신문은 1면 톱기사로 정부와 여당이 학원안정법제정을 추진하고 있다는 내용의 특종(特種)을 게재했다. 당시 재야정치권과 대학가, 노동계의 반정부 투쟁이 갈수록 거세지자 전두환 정권은 학원안정법제정을 추진했다.

 

이 법 시안은 시위학생들에 대해 영장없이 바로 체포 및 구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 선도교육을 위해 준사법기관인 선도교육위원회를 설치하며 지도교수에게도 연좌제로 책임을 묻는다는 등의 내용이었다.

 

당시 이 법 시안의 내용은 사회부 후배(김현섭)가 취재했다. 정치부 소속으로 총리실에 출입하고 있던 나는 그날 아침 노신영 총리와 노태우 민정당 대표, 장세동 안기부장 등 6인이 참석한 고위 당정회의가 안가에서 열려 처음으로 이 시안을 논의했다는 내용을 취재해 송고했다. 그러나 당시 석간이었던 경향신문 초판이 나온 직후, 손광식 편집국장 등 선배 4명과 함께 안기부에 연행돼갔던 나는 이틀간의 고문폭행으로 피투성이가 됐다. 연행된 5명 중에서도 특히 나는 고문을 심하게 받았다.

 

이 법안은 야당과 학원가의 강력한 반발로 취소됐지만, 정당하게 취재한 기자에 대해 영장도 없이 체포·구금하고 고문을 하는 독재정권의 야만성(野蠻性)을 그대로 보여줬다.

 

그런데 일부 동료의 언행은 정권의 야만성보다 더 나를 절망케 했다. 회사로 복귀한 뒤 정치부 내에선 위로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는 커녕, 평소 매일처럼 하던 점심이나 저녁 모임조차 하길 꺼리는 것이었다. 그뿐 아니라 거길 뭣하러 갔다 온거냐며 비아냥 거리는 동료마저 있었다.

 

이 모두 독재정권의 눈길을 지나치게 의식한 행동이었다. 이 사건은 그 뒤 내가 초대 경향신문 노조의 집행부로 일하게 하는 데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기자생활, 사회생활을 그런대로 정상적으로 해오면서 나는 젊은 날의 방황과 좌절을 잊은 줄 알았다. 아니, 애써 잊으려고 노력했다. 또 안기부 지하실의 고문 가해자와 배신자와 같던 동료들도 이미 마음으로 용서를 했다.

 

그래도 때만 되면 꿈으로 나타났던 일들. 한세상 살아버린 이제는 정말로, 시간의 저 깊은 지층속에서 모두 삭아 버린 줄 알았다. 하지만 그 꿈들은 생생하게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 말년을 앞둔 중요한 시기에 아직 준비가 덜 됐다는 듯이, 그리고 한없이 나약하다는 듯이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나를 비웃는다.

 

잊는다고, 용서한다고 해원(解冤)이 되는게 아니었다. 검게 착색된 영혼의 상흔을 치유하기에 망각과 용서는 너무 소극적인 해법인지. 그래서 사람들은 기도와 수행, 공덕쌓기에 온 몸을 바치기도 하는 것인지 .

 

삭풍이 몰아치는 한겨울의 적막한 산골 강마을, 칠흑같은 한밤중 을씨년스럽게 넓은 고가에서 혼자 잠자는 초로의 사나이가 식은 땀을 흘린다, 비명을 지른다.

 

꿈이여, 제발 멀리 가다오.

 

 

1.jpg

 

 

* 이 글은 아주 경제 111일자에도 실렸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