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18일, AM 02:57:05 파리 : 5월18일, AM 09:57:05 서울 : 5월18일, PM 04:57:05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세계필진
·김원일의 모스크바 뉴스 (70)
·김응주의 일본속 거듭나기 (7)
·배영훈의 인도차이나통신 (1)
·빈무덤의 배낭여행기 (102)
·쌈낭의 알로 메콩강 (31)
·안정훈의 ‘세상사는 이야기’ (251)
·이홍천의 일본통신 (4)
·장의수의 지구마을 둘러보기 (24)
·제홍태의 발칸반도에서 (14)
·최경자의 남아공통신 (69)
·황선국 시인의 몽골이야기 (15)
안정훈의 ‘세상사는 이야기’
세상과 적당히 타협하고 살다가 지하철 공짜로 타는 나이가 됐다. 더 늦기 전에 젊은 날의 로망이었던 세계일주를 해야겠다고 결심하고 출가하듯 비장한 각오로 한국을 떠났다. 무대뽀 정신으로 좌충우돌하며 627일간 5대양 6대주를 달팽이처럼 느리게 누비고 돌아왔다. 지금도 꿈을 꾸며 설레이며 산다

총 게시물 251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우연의 방랑 필연의 방랑

홀로 떠나는 두려움
글쓴이 : 안정훈 날짜 : 2019-02-21 (목) 13:53:49

안정훈의 혼자서 지구한바퀴 (5)

 

 

나이 들어 여행을 하려면 필요한 3가지 기본 조건이 있다. 경제력, 체력, 시간이다. 추가적으로 꿈, 의지, 약간의 외국어 능력에 더 욕심내자면 디지털 능력까지 있으면 더 좋다. 나에게 가장 취약한 부분이 건강과 체력이었다.

 

고혈압, 당뇨병은 15년 넘게 함께하는 친구다. 과민성 장염이 심해 술 마신 다음날은 잦은 설사 때문에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화장실에 가기 위해 중간 역에서 뛰어내리기 일쑤였다. 심지어는 고속도로에서 갓 길에 차를 세우고 일을 보기도 했다.

 

내시경을 찍어보면 건강한 노란색은 아주 적었고 염증으로 생긴 붉은색이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었다. 고 콜레스테롤, 지방간, 비만, 방광 확장증, 심한 잇몸 통증이 나를 힘들게 했다. 다뇨증으로 2시간 이상 가는 장거리 버스는 타지 못했다. 불면증으로 나보다 아내가 더 힘들어야 했다. 술을 마셔도 운동을 해도 잠 못 들기는 마찬가지였다. 기적처럼 낫긴 했지만 족저근막염도 심하게 앓았다. 만성 피로와 무기력증도 심했다. 감기 몸살이 자주 걸렸고 한번 걸리면 3주 이상씩 오래 낫지 않았다. 그런데도 날마다 폭탄주와 흡연이 이어졌다. 사는 게 재미없었다. 실체도 알 수 없는 답답증 때문에 차츰 우울지고 있었다.

 

혼자 떠나기로 작정하고 나서 가장 두려웠던 것은 건강 문제였다. 저질 체력으로 과연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자신이 없었다. “그냥 천천히 가다 힘들면 쉬고 그래도 안 되면 돌아오면 되지라고 편하게 생각하려고 했지만 걱정은 멈추지 않았다.

 

병원에 가서 한 달치 고혈압 약과 당뇨병 약 그리고 구급약을 처방받아 준비했다. 그래도 마음이 놓이지 않아 평소에는 잘 먹지 않았던 비타민과 건강 보조제를 챙겼다. 약을 준비했다고 문제가 풀리고 걱정이 해소되는 건 아니었다.


1549650220439.jpg

 

러시아는 말도 통하지 않는다. 나는 아날로그 세대라 디지털 세대처럼 비행기, 열차, 버스, , 숙소. 우버 등을 인터넷으로 예약할 줄도 모른다. 구글맵이나 맵스미나 구글 번역기도 사용할 줄 몰랐다. 론리플래닛 세대의 홀로 여행은 고달프다.

 

믿을 건 인생의 경륜뿐이었다. 그 때 우연히 읽은 시 한 편이 큰 용기와 힘을 주었다.

 

 

여행은 혼자 떠나라

 

박노해

 

 

여행을 떠날 땐 혼자 떠나라

 

사람들 속에서 문득 내가 사라질 떄

 

난무하는 말들 속에서 말을 잃어 갈 때

 

달려가도 멈춰 서도 앞이 안보일 때

 

그대 혼자서 여행을 떠나라

 

 

 

존재감이 사라질까 두려운가

 

떠날 수 있다는 용기가 충분한 존재감이다

 

여행을 떠날 땐 혼자 떠나라

 

함께 가도 혼자 떠나라

 

그러나 돌아올 땐 손잡고 오라

 

낯선 길에서 기다려 온 또 다른 나를 만나

 

돌아올 땐 둘이서 손잡고 오라.

 

15,000시간, 627일간의 방랑은 우연이었을까? 필연이었을까? 생각해 본다. 좁게 보면 우연이었지만 크게 보면 필연이었다. 필연성은 항상 우연성을 수반한다. 아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서양 철학서의 한 부분을 인용해 본다.

 

인간이 죽는다는 현상은 필연이지만 A가 언제 어느 곳에서 사고(事故)로 죽는 것은 우연이다. 즉 필연이 우연을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A가 그 장소에, 그 시간에 다른 사정으로 가지 않았더라면 그러한 우연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우연은 온갖 필연의 매듭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우연과 필연은 반대 개념 같지만 사실은 같은 뿌리로 얽혀 있다.

 

나의 긴 방랑도 우연하게 시작됐지만 내 운명의 필연이었던 것이라고 믿는다.

 

 

 

29136532_1586469501400176_8061852436694857113_n - Copy (3).jpg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안정훈의 혼자서 지구한바퀴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anjh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