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21일, AM 10:57:44 파리 : 5월21일, PM 05:57:44 서울 : 5월22일, AM 00:57:44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전문필진
·대안스님의 에코붓다 템플라이프 (1)
·박경준의 돈돈돈 (9)
·박묘행의 머슴으로 살기 (2)
·박상건의 섬과 등대이야기 (9)
·박종택의 별나라형제들 이야기 (71)
·서미경의 코러스(Kor-us)경제 (7)
·송암의 한방이야기 (22)
·송정훈의 보험속 내인생 (9)
·스테파니장의 교육칼럼 (17)
·원은미의 Better Half (7)
·이계선의 김재규복권소설 (60)
·임부경의 알기쉬운 역학교실 (13)
·정영민목사의 신앙칼럼 (8)
·정정인의 Sports Med (11)
·제임스정의 美대학진학성공법 (2)
·차크라의 만행열전(漫行列傳) (5)
·최지용의 Dog한 이야기 (27)
·한인수의 the Game of Golf (17)
박경준의 돈돈돈
글 쓰고 떠들기 좋아하는 재무설계사. 이런 사람, 저런 사람 돈 상담을 해주다 보니 느끼는 바가 많다. 조금만 일찍 만났으면 조금만 일찍 알았더라면 고객들로부터 수없이 들어왔던 이 말,어느 세대쯤 되어야 금융이 상식이 되어있을까 어렵고 복잡한 경제, 금융, 재테크 이야기. 친구가 들려주듯 쉽고 편하게 풀려한다. 말 안 듣는 친구한테 간간히 욕도 해가며......무지는 무죄가 아니다.
총 게시물 9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오빠, 채권이 뭐야?”

글쓴이 : 박경준 날짜 : 2013-12-04 (수) 11:16:00

 

 

시간 지나기 전에 동양사태 후닥닥 써야하는데 갈 길이 멀군. 어서 채권(債券)이 뭔지 알아보자고~

 

 

어떤 회사가 장사가 겁나 잘된다. 자기가 번 돈으로 투자하고 투자해서 돈 더벌고- 이렇게만 흘러가면 참 좋겠지?

동네 구멍가게야 이렇게 운영하겠지만 삼승이나 현다이같이 덩치가 엄청 큰 기업들은 요렇게만 장사돈만으로 경영하지 않는다.

 

 

이렇게 회사가 돈 필요할 때 마련하는 수단으로는 크게 주식과 채권을 발행하는게 있는데, 주식이든 채권이든 누군가가 사주면 그 돈이 발행한 회사로 들어가겠지? 이렇게 돈 마련하는거다잉.

 

 

주식은 일단 제끼고 오늘 알아볼 채권은 흔히 타인자본이라고 부른다.

타인자본...남의 돈이란 뜻, 즉 남의 돈을 빌린다는 거지.

거 왜 돈 빌리고 빌려주는 사람한테 채권자,

채무자 하잖아. 저 채나 이 채나 같은 빚 채(債)다.

 

 


<삽화 강예슬>

 

 

그렇다

대략 저런 모습이다.

친구한테 돈 빌릴 때야 무이자로 빌려주겠지만 회사랑 투자자는 친구가 아니거든. 당연히 몇 %의 약정된 이자를 주겠다고 약속하는것이 채권의 기본 골자이다.

 

이것이 채권의 전부라면 얼마나 이해하기 간단하나? 하지만 언제나 세상은 만만하지 않지.

채권도 종류가 여러개다.

 

우선 발행을 누가 하느냐? 즉, 어떤 놈이 돈 필요한가로 국채, 지방채, 특수채, 회사채 등으로 나눔.

대충 이름에서 느낌이 오지?

국채= 국가

지방채=지방자치단체

특수채=그냥 특수한 애들

회사채=회사

 

됐다. 이정도만 알면...

 

그리고 이자 주는 방식에 따라 나누어야 하는데 여러분이 대출 할 때 이자 주는 거랑 비슷하다.

 

이표채= 정기적으로 이자 주다가 (3,6 개월 마다) 만기에 원금 상환

할인채= 빌려줄 때 선이자 때고 만기에 원금 상환

복리채= 원금+이자 만기 일시 상환, 단 이자를 복리로 굴려줌

단리채= 원금+이자 만기 일시 상환, 이자 복리 안 해줌

거치분할상환채= 원금과 이자를 정기적으로 상환

 

거의 이표채 아니면 할인채이니 다른 건 진지하게 외우려 하지는 말자.

 

요런 조건의 채권이 있다고 하자

‘1년 100만원 빌려주면 5% 이자줄께’

이게 이표채라고 한다면,

빌릴때 100만원 빌려주고(100만원 짜리 채권을 사고) 1년 내에 이자 5만원을 나누어 받다가 1년째 되는 날 100만원 다 받으면 끝이다.

 

반면 할인채라고 한다면,

빌릴 때 95만원 빌려주고(100만원 짜리 채권을 사고) 1년째 되는 날 100만원 다 받으면 끝~

 

이 외에도 상환(償還) 기간에 따라 단, 중, 장기채

이자가 확정이냐 변동이냐에 따라 나누기도 한다.

 

신나게 떠들었는데 여기까지 읽고 개념 두개만 알고 가면 된다.

 

1. 채권을 사다= 돈을 빌려주다

 

2. 채권을 사는 이유(돈을 빌려주는 이유)= 이자 받으려고

 

채권 거래를 하면서 얻게 되는 이득은 ‘이자를 받으려고’ 라고 여러 번 말했는데 피 같은 내 돈을 생판 모르는 남 빌려주는데 대한 득으로는 넘 작지? 응 그렇다 이게 다가 아니다.

 

유통수익률!!

 

채권 거래를 하는 두번째 이유이다. 유통...음...

횡성에서 자란 소가 척살(刺殺)된 뒤 한방에 내 집 식탁에 턱! 오르는게 아니듯. 채권도 걍 회사에서 발행한뒤 만기까지 한상에 갚는것이 아니다.

인간이란 꼭 유통(流通)이란걸 하는것인가-

저런 시장 형성을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구분해 본다.

발행자(회사) 투자자(개인or기관) 가 있는 최초의 시장을 발행시장

그걸 만기까지 진득하니 기다리지 않고 지들끼리 사고 파는걸 유통시장

 

왜 5%든 7%든 만기되면 원금이랑 같이 이자 주겠다는데 치킨 냄새 맡은 개 마냥 발광하며 이리저리 사고 팔까-

 

 

채권엔 갚아야 할 원금이 있겠지? 요걸 액면금액이라고 하는데, 100만원이면 100만원!! 이렇게 가만 있는게 아니고 막 변동을 한다.

100만원의 채권이 95만원까지 채권가격이 떨어졌다고 하자! 요걸 잽싸게 사주시면 어떤 효과가 날까?

만기때 100만원+이자 받겠지?? 그리고 100만원 짜리를 95만원에 샀으니 차액 5만원도 버는거고-

이렇게 채권가격 차액에 따른 손, 이득을 보는 것을 유통수익률이라 지칭하니... 잘 알아두셩-

이런거 저런거 싫으면 그냥 가만히 만기에 이자만 기다리면 속 편하다.

채권거래에 의한 수익을 다 설명하려면 듀레이션에 블록성에 지랄지랄 등등

서로가 서로에게 죄짓는 거다. 이쯤하자. 나머지는 굳이 몰라도 상관없고 자격증 딸거 아니면 알아봐야 별 의미가 없다.

 

 

친구끼리 돈 거래 할 때도 잘 안 갚고, 연락도 잘 안되는 놈은 빌려주기 싫은 거다.

이런 돈거래 할 만한 친구냐 아니냐를 잘 따져보고 채권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우리 대부분 회사랑 친구인 사람은 없다.

그래서 신용평가 기관에서 이 회사가 어떤 놈인지 대충 신용등급을 매겨주게 된다.

 

 

 


 

 

 

 

대략 요렇게~

무디스, S&P 이런거 들어봤지? 국가 신용등급 매겨주는 회사다. 얘들이 뭘 가지고 기준 삼겠냐? 주로 국채나 은행들 보고 이 놈의 나라가 돈을 잘 갚을런지 어쩔런지 매기는 거다.

비슷하도다. 회사별 신용등급이 매겨져서 우리는(투자자)는 저거라도 잘 봐야 한다.

 

동양은 어느 등급이었을까?....

 

지금까지 대~애애~ 충 채권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럼 이제 한번 실전표를 봐야겠지.

 

 



 

 

 

우리 회사서 지난달 말에 실제 거래되었던 채권들을 표로 옮겼다. 하도 길어서 몇 개는 빼고~

 

빨간 박스안에 있는 것들을 차근차근 보라구.

 

 

제이에스 전선21 (발행회사명)

A (신용등급)

3개월 이표채 (만기시점 까지 3개월 마다 이자 줌)

만기일 (원금 상환 일자)

잔존일 (만기일까지 남은 날짜)

수량 (현재 남아있는 거래 가능한 채권 액)

매수수익률 (거래함으로서 얻는 유통수익률)

매수단가 (파는 가격)

 

척 보면 유통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채권이란걸 알 수 있겠지?

 

이제 여자 친구가

“오빠 채권이 뭐야?” 라고 물으면 멋지게 대답하여 주자.

 

 

 

아직도 메시랑 호날두밖에 모르겠다고???

 

 

 


 

 

 

<삽화 강예슬>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