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찾아 나선 美대륙 5200km 횡단(36)
by 강명구 | 21.12.30 13:28

우리의 소원은 통일아리랑이 뉴욕 하늘 아래 울려 퍼지다

"Our Wish is Unification" and "Arirang" Resonate under the New York Sky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새벽 일찍 일어나 어제 저녁 오랜 세월 선배로 알고 지내던 표순제 형이 사온 밥을 먹고 출발한다. 밥 한 그릇이 다 들어가니 든든함이 느껴진다. 이 길은 살아가면서 예상치 못하게 덤벼드는 어려움과 어떻게 마주서야 하는지 혹독한 훈련을 통해서 알고 돌아가는 마지막 길이다. 내 스스로를 돌아보며 지난 과거 속에 잊어버리고 싶었던, 도망치고 싶었던 삶의 질곡과도 떳떳하게 마주보며 화해를 하고 돌아오는 길이다. 이제 이 길의 끝에 서면 자신감을 잃고 주눅 들어서 움츠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곳이 나의 새로운 출발지점인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새로운 출발은 아직도 어느 방향을 향해 달려가야 할지 숙제를 풀지 못했지만 말이다.

As usual, I wake up early in the morning and leave after eating the meal that Mr. Pyo Soon-je bought for me yesterday evening. I ate A bowl full of rice, so I feel strong. This is the last part of the long trip to go back after knowing through rigorous training how to face the difficulties of unexpected attacks in life. I'm on my way back after reconciliated with ups and downs of my past life I’ve wanted to run away, looking back and facing the life as it was. Now at the end of this road, I will not lose my confidence and never shrink. It is very meaningful that it is my new starting point. I still haven't solved my homework which direction I should run for a new start.

 

달리면서 나는 누구인가 묻고 그 길 위에서 해답을 구했다. 내가 무엇을 더 할 수 있는지, 무엇을 더 배워야 하는지, 무엇을 못 하였는지 해답을 구했다. 나는 길을 달리면서 용서와 치유의 힘을 얻었다. 끊임없이 한계에 도전하며 한계에 부딪쳤을 때도 그것이 진정 나의 한계가 아님을 스스로에게 각인시켰다. 내부 깊숙한 곳에 감추어져서 한 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능력을 캐어내는 광부처럼 최선을 다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계를 극복했을 때에도 스스로를 돌아보며 우주의 티끌만도 못한 나를 알려주었다. 대단한 일을 멋지게 해냈어도 항상 더 대단하고 멋진 일은 남아 있게 마련이다.

As I ran, I asked who I was and asked for answers on the road. I asked for answers to what I could do more, what I should learn more, and what I couldn't do. I gained the strength to forgive and to heal as I ran along the road. I’ve constantly challenged the limit, and whenever I hit the ceiling, I convinced myself that it wasn't really my limit. I did my best, like a miner poking out abilities which were hidden deep inside and I'd never used. And even when I finally got over the limit, I looked back at myself and informed myself that I was not even a speck of the universe. Even if we've done a great job, there's always more to it.

 

125일 동안 나는 삶의 질량을 벗어던지고 마치 우주유영을 즐기는 우주인처럼 자유를 누렸다. 내 자신에게 최선을 다할 때 찾아오는 희열을 충분히 만끽했다. 마음에 희열이 오면 몸이 유연해지고 사고가 유연해진다. 사고의 경직성이 사라지면 사랑이 찾아온다. 자신에 대한 무한한 사랑과 주위로 퍼져나가는 사랑을 느낀다.

For 125 days, I was free as if I were a spacewalker who was throwing away the weight of life. I enjoyed the joy that came when I did my best to myself. When the heart is happy, the body becomes flexible and thinking becomes flexible, too. Love comes when the rigidity of thought disappears. I feel endless love for myself and love which is spreading around me.

 

오버팩으로 들어오는 길은 여러 친구들이 어깨를 나란히 함께 뛰어주어서 발걸음의 무게를 덜어주었다. 공원 안의 야회무대에서는 뉴저지 한인회장을 비롯하여 한인사회의 인사들과 교민들이 미리 나와서 환영행사를 성대히 치러주셨다. 우리는 우리의 소원은 통일아리랑을 합창했다. 우리의 합창은 아직은 작지만 은은하게 뉴욕 하늘 아래 은은하게 퍼져나갔다. 내 눈가에도 눈물이 촉촉하게 흘러내린다. 내가 길거리에 떨어뜨린 땀방울도 일어나 노래와 함께 퍼져나가는 것 같았다.

My steps were very light along the road to Overpack , for several friends ran shoulder-to-shoulder together with me. On the stage in the park, the president of 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New Jersey and other Korean residents showed up in advance and held a big welcoming ceremony. We sang "Our Wish is Unification" and "Arirang." Our chorus was still small but subtlely diffused under the New York sky. Tears fall down from my eyes. The sweat I dropped on the road also seems to rise and spread out with the song.

 


 

이 여정의 마지막 밤은 한영석이 오버팩 공원 옆에 있는 호텔을 잡아줘서 그곳에서 보냈다. 친구들과 막걸리를 곁들인 저녁이 마지막 만찬이 되었다. 모두들 나의 노고를 진심으로 위로해주었다. 나는 남자든 여자든 큰 포옹으로 인사를 나누었다. 내가 그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여기까지 오면서 고농축으로 축적해온 긍정의 에너지였기 때문이다. 배터리 점프를 하듯이 가슴을 마주대고 힘차게 부벼대면서 선물을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나누어주었다. 내일 일정이 남아있긴 하지만 도를 넘지 않는 선에서 회포를 풀었다.

We spent the last night of this journey together at a hotel near Overpack Park which was arranged by Mr. Han Young-seok. We enjoyed the last supper of the long journey with Makgolli, Korean rice wine together. Everyone truly consoled me for my hard work. I greeted each other with a big hug, male or female. The best gift I can give them is the positive energy that has been accumulating in high concentrations while I came here coping with all troubles. I handed out the gift to each person, bumping hard against the chest like a battery jumping. Though I have a schedule tomorrow, we've unbosomed ourselves on the line that doesn't go too far.

 

65, 마지막 날 아침도 습관처럼 일찍 눈을 떴다. 아침의 새벽 별빛이 사위어가고 비가 올 듯 구름 낀 하늘에 새로운 태양이 떠오른다. 오늘은 어제보다도 더 많은 친구들이 나의 마지막 길에 힘을 덜어주려고 평일인데도 이민 생활의 빠듯한 일상 중에 생업도 잠시 접고 함께 해주었다. 안정환이 커다란 태극기를 들고 앞장을 선다. 내가 지금껏 받아보지 못한 최고의 환대였다.

On June 5, the morning of the last day, I woke up early like a habit. The stars are dying at dawn and a new sun rises in the cloudy sky in the morning and it is likely to rain at any moment. Today more friends came in order to run together to relieve me of my labor on the last road than yesterday. Even though it was a weekday, they stopped their living business and came to join me on the last day despite of their busy schedule. Ahn Jung-hwan takes the big Taegeukgi and leads up. It was the greatest hospitality I've ever received.

 

조지워싱턴 다리를 지나며 내려다보이는 허드슨 강물은 변함없이 정겹고 깊고 은은하게 흐른다. 4개월 전 뉴욕은 눈이 군데군데 쌓여있었고 지금은 초록이 군데군데 쌓여있다. 그때 나뭇가지는 앙상했는데 지금 나무에는 봄꽃들로 만발해있다. 강 언덕 사이로 흐르는 것은 물 뿐이 아니었다. 세월도 흘렀고 생각도 흘렀다. 그때 내 마음은 황폐했었는데 지금 내 마음은 희망의 꽃들로 만발해 있다. 지금 나와 같이 뛰는 친구들은 출발하기 전에는 나의 나약함만을 알고 있었을 뿐이다. 지금 이들은 나를 절대 나약하지도 무기력하지도 않다고 생각한다.뉴욕이 가까워질수록 뉴욕이 다시 깊은 오지처럼 느껴지는 것은 왠지 모르겠다. 처음 사막 한가운데로 뛰어들 때와 기분이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 모진 일들을 다 견뎌내고 이 다리를 건너는 나는 흙이 1,300도의 불가마 속에서 여러 번 구워지면서 찬란해지듯이 대륙을 가로지르며 끝없이 달리는 그 뜨거운 열기 속에 내 몸도 마음도 빛으로 가득 찼다.

The Hudson River, which I overlook from the George Washington Bridge, continues to flow calmly, deeply and subtly. Four months ago, New York City had snow everywhere and now there is green everywhere. The branches of the tree were bare then, but now the trees are in full bloom with spring flowers. Water was not the only thing that flowed through the river banks. The years passed and our thoughts did so, too. My heart was in ruins then, but now my heart is in full bloom with flowers of hope. Now my teammates only knew about my weakness before I started. Now they don't think I'm weak or lethargic. I don't know why the closer New York gets, the deeper I feel it like the remote and the rough again. I felt no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when I jumped into the middle of the desert. Just as the soil becomes brilliant only after it was burnt many times in the firing 1,300 degree furnace, I, who was crossing this bridge after having endured all the hardships during the long journey, was filled with light in the hot heat of running endlessly across the continent.

 

나와 친구들은 커다란 태극기를 휘날리며 허드슨 강변도로를 달려 내려오다 다시 센추럴 파크으로 들어섰다. 주말이면 늘 달리던 그 길이다. 내가 마라톤에 입문하던 날 달리던 길이다. 나는 그때 이 부근을 지나면서 숨이 턱까지 차오르면서 너무 힘들어서 거의 포기할 뻔했다. 그때 포기했으면 나의 마라톤은 없었을 것이다. 뉴욕마라톤의 골인지점이기도 한 그 길을 따라 달려 내려오다가 다시 브로드웨이 길을 따라 내려와 뉴욕의 심장과 같은 타임스퀘어에서 멈춰 기념사진을 찍었다.

My friends and I ran down the Hudson River Road with a big Korean flag and entered the Central Park later. It's the road I used to run on weekends. It was also the road I ran on the first day of my marathon. Then I was so tired that I almost gave up , gasping my breath to my neck. If I had given up then, there wouldn't have been my marathon any more. We ran down the road, which is also the destination of the New York Marathon, and then down Broadway again and stopped at Times Square, the heart of New York, in order to take pictures.


 


불현듯 초등학교시절 내게 방정환의 동화책 한 권을 건네주신 선생님이 생각났다. 아무리 생각해도 선생님의 이름이 기억나지 않지만 그때 그 책을 읽으면서 생겨나던 꿈들이 슬그머니 다시 기어 나와 뉴욕으로 들어가는 내 발걸음에 보조를 맞추며 달려가고 있다. 그렇게 한참을 어릴 때 꿈과 어깨를 나란히 뛰다보니 내가 원하는 것이 무언지 확연하게 보인다.

Suddenly, I remembered a teacher who gave me a fairy tale book of Bang Jeong-hwan when I was in elementary school. No matter how much I think of it, I can't remember my teacher's name, but the dreams that came about while reading the book are slowly crawling out and running in step with my steps into New York. As I ran for a long time in shoulder to shoulder with my dream when I was young, I can clearly see what I want.

 

나는 이제 또 다른 익숙하지 않은 환경 속으로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어찌 보면 대륙횡단 마라톤보다 더 큰 모험이 눈앞에 기다리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면서 모험하는 동물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제 26년간 정들어 살던 뉴욕을 떠나 조국으로 돌아가야겠다. 익숙하던 모든 것들을 떠나는 것은 내가 사막으로 뛰어들었던 것보다 어찌 보면 더 무모할 수도 있다. 더 큰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지 모르는 더 큰 도전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I am now determined to dive into another unfamiliar environment. In a way, there is a greater adventure ahead than the transcontinental marathon. It is because humans are both social animals and adventurous animals. I must now leave New York, where I have happily lived for 26 years, and return to my fatherland. Leaving all the familiar things may be more reckless in a way than I had jumped into the desert. It may be a bigger challenge that might pose greater risks.

 

나는 조국으로 돌아가 어려서 잠깐 꿈꾸다 내 안에 천재성을 발견하지 못해서 포기했던 문학을 하려고 한다. 천재적인 능력이 없이도 대륙횡단 마라톤 완주해낸 나의 마라톤과 천재적인 능력이 없어서 오래 전에 포기했던 별 볼일 없는 나의 문학적 재능이 결합하면 창조적인 마라톤 문학이 되는 것이다. 천재적이지 않아도 내가 할 수 있는 독특한 일이 남아 있다는 것이 통쾌하다. 세상에는 남들이 밟지 않은 오지가 아직도 널렸다.

I'm going to return to my country and study literature again which I gave up because I couldn't find a genius in myself when I was young. If my marathon, which has completed the continental marathon without genius, is combined with my humble literary talent, which I gave up a long time ago, I will be able to be a writer of creative marathon literature. I am glad that there is something unique left to me that I can do even though I am not a genius. The world is still full of wild places or blue oceans that others have not stepped on.

 

59세의 나이는 아직도 꿈을 품기에 넉넉한 시간을 가졌다. 달리면서 튼튼해진 심장은 이상의 날개를 펼치기에 알맞다. 달리면서 생겨난 은근과 끈기와 담력으로 새로운 인생을 출발하는 거다. 채워도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욕망은 사라졌지만 조금만 부어도 넘치는 넉넉한 마음이 생겼다. 중년이 건강하고 활기차면 세상은 새로운 부흥을 이룩할 것이다. 이제 세상은 오십 대 육십 대에 의해서 새로운 활력을 얻을 것이다.

The man of 59-year-old still has enough time to dream. A heart that is strengthened by running is suitable for spreading the wings of ideal dream. I will start a new life with persistency, tenacity and courage that I acquired while running. The desire to be filled but not filled has gone, but I had an overflowing heart with a little wealth. When middle aged men are healthy and vibrant, the world will achieve a new revival. Now the world will be given new life by those of 50s and 60s.


언제나 맨해튼에 들어서면 나의 동공은 여행자의 그것으로 바뀐다. 쉴 새 없이 지나가는 볼거리를 담아내기 위하여 마음이 얼마나 분주해지는지 모른다. 뉴욕은 여행자들의 혼이라도 빼앗아갈 볼거리와 먹거리, 패션이라는 이름의 입을 거리를 끝없이 제공한다. 그 수많은 사람들의 서로 다른 모습 속에 나도 나만의 모습을 하고 달려간다. 이제 방향을 바꿔 유엔본부로 향한다.

Whenever I enter Manhattan, my eye pupils are changed into those of a traveler. I don't know how busy my mind is to capture something that is constantly passing by. New York offers endless attractions such as sightseeing, food and clothing in the name of fashion to take away even the souls of travelers. I also run in my own way amidst the different faces of so many people. We now change direction and head for the UN headquarters.

 

세상은 빠른 속도로 변해간다. 출산율은 떨어지고 평균수명은 늘어간다. 축복으로 다가와야 할 장수사회가 생산인구는 줄어들고 노인 의료비는 증가해서 자칫 인류의 재앙이 될 수도 있다. 59세의 나는 이모작 인생을 꾸려가기에 충분한 힘을 스스로 증명해냈고, 거기에 알맞은 경험도 있다. 꿈을 품기에 넉넉한 시간도 있다. 뽀송뽀송한 피부의 탄력과 양 볼의 붉은 빛은 사라졌지만, 이마엔 잔주름이 하나 둘 생겨나고 머리에 흰 머리는 늘어나지만, 새롭게 도전하는 용기, 일상의 평범함을 거부하는 자유로운 상상력은 바람 부는 날 파도처럼 거세게 밀려온다.

The world is changing at a rapid pace. The birth rate decreases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 society of longevity, which should come as a blessing, could be a scourge of human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people to produce and increasing medical costs for the elderly. At 59, I proved myself to be strong enough to lead a life of double-cropping, and I have the right experience for that. There is still plenty of time to dream. The elasticity of the soft skin and the red light of both cheeks have disappeared, and the sheer wrinkles on the forehead are made one by one and white hair is stretched on the head, but the courage to challenge anew and the free imagination of rejecting daily routine mediocrity, are pouring in like a wave on a windy day.

 

유엔본부 앞 함마슐트 광장으로 달려드는 나의 발길은 먼 길을 달려와서 모래톱으로 잦아드는 파도처럼 잦아들 것이다. 나는 결국 해냈다. 광활한 미대륙을 제 몸의 근육만으로 횡단하는 일은 대단한 일이다. 그런 대단한 일을 나 같은 평범한 사람도 할 수 있다는 발견은 더 대단한 발견이다. 작은 물방울이 모여서 강물을 이루며 흐르듯 아주 작은, 하찮은 몸짓 하나하나가 모여서 대모험을 완성했던 일은 통쾌하다. 가장 치열하게 보낸 이 봄을 나는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이 일은 대자연의 정령이 도와주지 않았으면 도대체 가능이나 했겠는가 생각해본다. 가족 친구들이 도와주지 않았으면 도대체 가능이나 했겠는가? 내가 뉴욕에 들어와서 가장 먼저 한 일은 모하비 사막을 안전하게 통과하게 도와준 리처드씨에게 전화한 일이다. “탱큐, 당신 덕분에 무사히 완주할 수 있었어요. 정말 고마워요! 당신도 지금 내가 무슨 일을 해냈는지 알지요?”

My path to Hammaschult Square in front of the U.N. Headquarters will stop as the waves that run a long way and die down at the sandbank. I did it in the end . It is a great thing to traverse the vast American continent with the muscles of one's body. The discovery that even an ordinary person like me can do such a great thing is a greater discovery. It is refreshing to think that I got together every tiny, little gesture to complete the grand adventure, just as small drops of water congregate into a river. I will remember forever this most intense spring I’ve ever had. I wonder if this could have been possible without Mother Nature's Spirit's help. Would it have been possible if my family and friends hadn't helped me? The first thing I did when I entered New York was to call Mr. Richards, who helped me run safely through the Mojave Desert. "Thank you. Thanks to you, I was able to finish the race safely. That was very kind and thoughtful of you! You know what I've done right now?“

 

달리면서 내 안에 생긴 연어 알 같은 새 희망의 씨는 다시 수많은 다른 희망으로 부화되어 더 먼 바다로 퍼져나갈 것이다.

The new seed of hope, like the salmon egg that grew inside me as I ran, will again hatch into countless other hopes and spread out into the farther sea.

 


 

by Kang Myong-ku

translated by Song In-yeup

 

글 강명구 영역 송인엽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gmg


뉴스로 PC버전 로그인